<앵커> 협력업체가 대기업에 물품을 납품하고, 대금을 은행에서 대출형식으로 미리 지급받아 쓸 수 있는 제도를 B2B대출이라고 합니다.
STX나 쌍용건설같은 대기업이 부도위험에 내몰리자 감독당국은 올 봄 부랴부랴 B2B대출 개선책을 내놨지만 막상 현장에서는 기대와는 전혀 다른 모습입니다. 이근형 기자입니다.
<기자>
은행들의 외상매출채권 담보대출, ‘B2B대출’의 판매가 저조합니다.
중소기업 고객이 가장 많은 기업은행의 B2B대출은 올들어 잔액이 4천억원 가까이 줄었습니다.
2차, 3차 협력업체까지도 대기업의 신용으로 대출을 받을 수 있는 하나은행의 ‘상생패키지론’ 역시 증가세가 멈췄습니다.
[인터뷰] 하나은행 관계자
“금감원의 최대 고민사항 중 하나다. 원청에서 1차를 내려주면 다시 1차가 2차 내려주고 2차가 3차 내려주고 하는 것을 자기들이 내려줘야 한다. 그런데 내려줬는데 중간에 1차기업이 안내려줘버렸다면 강제로 내려주거나 할 수는 없는 것..“
이를 보완해 우리은행은 대기업이 상품에 가입하면 모든 하위협력업체가 자동적으로 혜택을 받는 ‘상생파트너론’을 지난 5월 출시했지만 현재까지 유치한 금액은 19억원에 불과합니다.
[인터뷰] 우리은행 관계자
“대기업에서 굳이 이 상품을 써도 장점이 크지 않다. (협력업체가) 거래하는 위 대기업들이 이걸 쓰게끔 하면 혜택을 보는 건데 시간이 상당히 오래 걸릴 것 같다.”
지난 5월 쌍용건설과 STX 등 대기업 부실이 잇따르자 금융감독원은 협력업체들의 줄도산을 막겠다며 B2B대출 개선방안까지 내놨지만 정작 대출현장에서는 외면받고 있는 것입니다.
금융감독원은 B2B대출과 관련해 미진한 부분이 나타나고 있어 현재 2차·3차 협력업체들이 외상매출채권 발행량과 한도, 미결제 현황과 같은 정보를 공유하는 방안 등 추가지원책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당국이 은행들에게 부실기업 구조조정을 촉구하는 과정에서 협력업체들을 줄도산으로 내몬다는 지적을 받지 않기 위해 임시변통적인 대책을 내놨다는 비난을 피하기는 어려워보입니다.
한국경제TV 이근형입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