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06.47

  • 15.42
  • 0.60%
코스닥

766.36

  • 10.04
  • 1.33%
1/4

30∼40대 1,000억 주식 부호 52명··홀로서기 9명뿐

관련종목

2025-02-17 13:33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주식자산가치가 1천억원이 넘는 30∼40대 부호는 52명으로 이 가운데 자수성가 창업자는 9명에 불과했다.

    기업 경영성과 평가업체인 CEO스코어는 25일 주식자산 가치가 1천억원을 넘는 30대와 40대 주식부호는

    모두 52명으로 이중 자신이 스스로 기업을 일으킨 자수성가형은 17%인 9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22일 종가 기준)

    한국보다 기업 역사가 오래된 일본의 50대 주식부호중 재벌가 출신이 14명으로 28%에 그친 반면

    68%인 34명이 창업 기업인이었다는 올해초 조사결과와 크게 대비되는 대목이다.

    작년말과 비교하면 30∼40대 천억클럽은 54명에서 2명 줄었고

    1조원 이상 자산가는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이 올해 처음으로 `톱5`에 입성, 4명에서 5명으로 늘었다.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부회장이 3조5천억원의 주식 자산으로 30~40대중 최고 부자였다.

    정 부회장은 보유중인 현대글로비스, 기아자동차, 현대엠코 등 현대차 계열사들의 주식가치가 3조5,530억원에 달했다.

    2위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으로 2조 6,070억원, 3위는 1조3,500억원인 신세계 정용진 부회장이었다.

    4, 5위는 게임사 넥슨의 지주사인 엔엑스씨 김정주 회장과 포털 네이버의 이해진 의장 등

    창업자 부호들이 각각 차지해 재벌가 전유물이었던 `1조클럽`에 이름을 올렸다.

    김 회장은 엔엑스씨 지분 48.5%를 보유해 자산가치가 1조3,340억원에 달했고

    네이버 이 의장은 1조 440억원을 기록했다.

    이 의장의 자산가치 상승은 모바일 메신저 `라인`의 성공으로 네이버의 주가가

    1년새 두 배 가까이 오른 영향이 컸다.

    재벌가 2∼3세 중에서는 형제자매들이 나란히 이름을 올린 경우도 많았다.

    삼성 이건희 회장의 삼남매인 이재용 부회장·이부진 호텔신라 사장(6,950억원)·이서현 제일모직 부사장(5,463억원),

    신세계 이명희 회장의 아들 정용진 부회장과 딸 정유경 부사장(2,450억원), 현대백화점 정몽근 회장의 장남 정지선 회장(9,030억원)과

    차남 정교선 부회장(4,640억원), 동부그룹 김준기 회장의 아들 동부제철 김남호 부장(6,000억원)과 딸 김주원씨(1,730억원),

    효성그룹 조석래 회장의 장남 조현준 사장(4,270억원)과 삼남 조현상 부사장(2,970억원),

    한국타이어그룹 조양래 회장의 네 자녀인 조현식(4,800억원)·조현범(5,920억원)·조희경(2,340억원)·조희원씨(2,970억원)도 여기에 포함됐다.

    이밖에 자수성가형 `천억 클럽` 멤버는 엔씨소프트 김택진 사장(4,930억원), 위메이드 박관호 의장(2,970억원),

    YG엔터테인먼트 양현석 사장(1,0760억원), 다음커뮤니케이션의 창업주 이재웅 전 사장(1,650억원),

    제약업체 내츄럴엔도텍 김재수 사장(1,080억원), 에이블씨엔씨 서영필 회장(1,050억원) 등 6명이었다.

    자수성가형 주식부호 1위였던 김택진 사장은 작년 6월 넥슨재팬에 지분 14.7%를 8,045억원에 매각해 `1조 클럽`에서 빠졌다.

    ▲사진 정의선 현대차그룹 부회장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한국경제TV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