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 후관절 증후군은 갑작스러운 외상, 허리삠이나, 장기간의 잘못된 자세가 원인이 되며, 허리근육이 약한 여성들에게 더 잘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허리와 골반이 쑤시는 듯한 통증이 느껴지며, 아침에 허리가 뻣뻣해지고 증상도 심하다. 이렇듯 현대인들의 생활은 인체의 기본 구조에 역학적(구조적)스트레스를 매우 증가시키고 있다. 예를 들어 판매원은 하루 종일 서서 손을 들고 일을 해야 하며, 프로그래머는 컴퓨터에 메어 달려 있다. 이러한 역학적(구조적)스트레스의 증가는 점점 더 증가하는 틀어진 자세들 때문이다.
![](https://img.wowtv.co.kr/wowtv_news/20130528/B20130528134252447.jpg)
세진정형외과의원 정상훈(정형외과 전문의)은 “척추후관절증후군은 척추 후방의 돌기관절이 비틀어져 서로 부딪혀서 통증이 나타난다. 원인이 디스크와는 다르기 때문에 디스크 치료를 받았는데도 저림 증상이 나아졌지만 허리 통증은 그대로라면 척추후관절증후군일 가능성이 높다. 몸을 뒤로 젖힐 대 통증이 심해지는 경향이 있으며 통증은 무릎 아래로는 잘 내려가지 않는다.” 고 설명했다.
특히 자세의 무너짐은 척추측만증의 시작이나 진행 또는 일자목, 거북목 증후군, 굽은등(척추후만증), 골반의 뒤틀림(골반변위), 휜다리등의 부수적인 발생을 촉진한다. 게다가 목디스크(경추디스크), 허리디스크(허리통증), 골반통증, 척추후관절증후군 등 각종 근골격계통증들의 근본적인 원인은 자세가 잘못 되어 시작 하는 사례가 많다.
때문에 성인의 경우 자세결함으로 근골격계질환 발생률은 미디어장치(스마트폰,컴퓨터)와 운동부족으로 인한 경향들과 상당히 깊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정형외과 전문의의 도움과 운동, 스트레칭, 근육의 발란스를 회복하고 굳은 몸을 풀어 틀어진 자세를 변화 시키며 그리고 바른자세 인식 등으로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