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84.06

  • 7.99
  • 0.29%
코스닥

838.65

  • 3.47
  • 0.41%
1/2

통신3사, '알뜰폰 경계령' 현실화

관련종목

2024-06-28 02:25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통신3사, `알뜰폰 경계령` 현실화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앵커>
    정부가 가계 통신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알뜰폰 활성화에 발벗고 나섰습니다. 이동통신 3사가 제공하는 각종 통신 서비스를 알뜰폰 사업자에게 더 싸게 공급토록 하고, 오프라인 판매망도 확충할 계획입니다. 채주연 기자입니다.

    <기자>
    정부가 이동통신시장 경쟁 활성화를 위해 알뜰폰에 힘을 실어주기로 했습니다.

    이동통신 3사보다 20~30% 이상 저렴한 알뜰폰으로 요금 경쟁을 촉진할 계획입니다.

    오는 6월부터 이동통신사가 알뜰폰 사업자에 제공하는 음성, 데이터 등 서비스 도매대가가 최대 50%까지 인하됩니다.

    상반기 이동통신시장을 뜨겁게 달군 망내외 음성 무제한 요금제 역시 이르면 6월부터 알뜰폰으로도 이용이 가능합니다.

    값이 싼 건 알지만 판매처를 찾기 힘들어 구매에 한계가 있던 만큼, 9월부터는 우체국에서도 알뜰폰을 판매합니다.

    <인터뷰> 이동형 미래창조과학부 통신정책국장
    "알뜰폰이 활성화되고 맞춤형 요금제가 강화된다면 통신비 경감을 체감할 것으로 예상되며, 단말기 시장 자체에도 경쟁이 활성화 돼 출고가 인하 등 가격 인하가 기대됩니다."

    미래부는 27개 알뜰폰 사업자 중 절반 이상이 요금을 낮출 것으로 관측했는데, 가격 경쟁력이 크게 높아지는 만큼 이동통신 3사는 긴장하고 있습니다.

    보조금 경쟁 이후 가입자 유지에 큰 힘이 돼준 음성 무제한 요금제만 해도 알뜰폰이 더 저렴해 고객 이탈이 우려되기 때문입니다.

    정부는 이통사가 신상품을 출시하면 알뜰폰 사업자에게도 신속하게 도매로 제공하도록 해 3사 중심의 경쟁 구도가 흔들릴 전망입니다.

    <전화인터뷰> 이통통신업체 관계자
    "가입자 분류군이 조금 틀리다고 보고는 있는데, 지켜보는 거죠. 우리랑 협의하고 낸 게 아니잖아요. 정부에서 강력한 의지를 갖고 발표했는데 저희 입장이란 게 뭐가 있겠어요."

    통신망도 제공하고, 요금제를 개발해 싼 값에 넘겨주고도 가격 경쟁에서 뒤처지게 된 통신3사는 서비스로 승부를 걸 계획입니다.

    하지만 정부가 알뜰폰 키우기와 함께 보조금 제재 강화에 나서면서 3사의 입지 축소는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한국경제TV 채주연입니다.
    한국경제TV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