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58.42

  • 3.53
  • 0.13%
코스닥

862.19

  • 9.14
  • 1.05%
1/1

철강업계, 가격인상 '전전긍긍'

관련종목

2024-06-17 01:27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철강업계, 가격인상 `전전긍긍`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앵커> 올해 들어 철광석 공급가격이 치솟고 `엔저현상`이 지속되면서 철강업체들이 가격 인상을 저울질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작 철강의 최대 수요처인 조선과 건설 등의 업황이 좋지 않아 철강업계는 `전전긍긍`하고 있습니다.

    보도에 박현각 기자입니다.


    <기자> 올 2분기 철광석의 1톤 당 공급가격은 137달러. 전 분기보다 33%나 상승했습니다.

    석탄은 172달러로 전분기보다 4.2%, PCI탄도 13.7% 올랐습니다.

    원재료 가격이 상승함에 따라 철강 제조원가는 전 분기보다 1톤 당 7만원의 상승요인이 발생한 셈입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중국의 경우 `바오산 철강`이 지난 달 가장 먼저 가격인상을 선언했습니다.

    일본의 `신일철주금` 역시 최근 판재류 값의 2배 인상을 선언하며 가격 인상 대열에 합류했습니다.

    하지만 가격 선언만 했을 뿐 실제로 가격에 반영할 수 있을지는 불투명한 상황입니다.

    철강의 최대 수요업체인 조선과 건설, 자동차 등의 업황이 생각만큼 좋지 않아 가격협상이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국내 철강업체들 입장에서도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어 가격인상이 불가피하다"면서도 수요업체들의 눈치만 보고 있습니다.

    <인터뷰> 철강업계 관계자 (음성변조)
    "수요업체에 물량부터 공급하고 추후에 가격협상을 하고 있다. 제조원가가 올라가면서 불가피하게 인상할 상황이 왔는데, 수요업체들이 경기가 안 좋으니 가격인상에 어려움이 있다."

    철강가격을 제 때 인상하지 못하게 되면 철강업계의 어려움도 더욱 커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글로벌 철강수요 증가 둔화와 `엔화약세`가 국내 철강업체들의 발목을 계속 붙잡고 있기 때문입니다.

    올해 글로벌 철강수요가 3.2% 증가하는 데 그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업체들 간의 치열한 경쟁이 예상되는 상황.

    여기에다 `엔화약세` 현상으로 수출시장에서도 고전하고 있어 국내 철강업체들의 `한숨`은 늘어만 가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박현각입니다.
    한국경제TV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