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임시국회 종료일인 오늘(5일) 극적 타결이 이뤄지지 않는 한 정부조직 개편안 논의는 3월 국회로 넘어갈 공산이 커졌다.
![](https://img.wowtv.co.kr/wowtv_news/20130305/B20130305093708663.jpg)
이번 협상에서 새누리당은 SO 문제와 관련해 인·허가권과 법률 제개정권을 미래부가 갖도록 하자는 원안을 고수했으며 민주당은 불가 입장으로 맞섰다.
또한 민주당은 미래부 신설을 제외한 나머지 정부조직법 개정안 일체를 우선 통과하자는 `분리 처리` 방안을 거듭 제시했으나 새누리당은 부정적 입장을 견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협상이 교착상태에 빠지면서 여야 원내 수석부대표단은 장기전에 대비, `원포인트 국회` 개최 등 3월 임시국회 소집 필요성에 대해 잠정합의했으며 5일 각각 의원총회 등 내부 의견수렴 절차를 거쳐 재논의키로 했다.
새누리당은 여야간 추가 협의 후 5일 중으로 3월 임시국회 소집을 요구할 것으로 보이며, 이 경우 국회법상 `3일 경과` 규정에 따라 임시국회는 8일부터 개회될 전망이다.
여야는 5일에도 다양한 협상 채널을 가동, 접촉을 이어가기로 했으며 여야 모두 정치 실종에 대한 부담이 적지 않은 점을 감안할 때 벼랑 끝 극적 타결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새누리당 이철우 원내대변인은 이날 여야간 심야접촉 후 서면 브리핑에서 "아직 최종합의에 이르지 못했으나 임시국회 종료시까지 여야 협의를 통해 통과될 수 있도록 끝까지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박근혜 대통령이 이날 대국민 담화를 통해 강경한 어조로 원안 고수 입장을 재확인하고, 민주당이 "오만과 불통의 일방통행"이라고 강력 반발하는 등 강대강 대치가 심화되면서 협상 전망이 더욱 불투명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