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05.32

  • 4.15
  • 0.15%
코스닥

868.36

  • 3.65
  • 0.42%
1/3

韓, 세계무역 8강..'강소기업'육성 절실

관련종목

2024-06-11 18:36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韓, 세계무역 8강..`강소기업`육성 절실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앵커> 우리나라가 지난해 세계 무역규모 8강에 진입하는 쾌거를 이뤘습니다.

    하지만 중소·중견기업의 글로벌화는 상대적으로 미진한 것으로 드러나 내실을 키워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보도에 박현각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해 우리나라의 세계 무역규모가 8위에 올랐다고 정부가 공식화했습니다.

    전년도 9위에서 한 단계 뛰어오른 것은 물론, 지난 2002년 13위에 오른 지 10년 만에 이뤄낸 성과입니다.

    하지만 면면을 살펴보면 축배를 터트리기엔 아쉬움도 많아 보입니다.

    무역규모 순위는 전년보다 1계단 올랐지만, 수출액은 오히려 1.3% 줄었기 때문입니다.

    중소·중견기업의 수출비중도 해마다 감소하고 있어 수출 양극화가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세계시장 1위 품목 수를 비교해봐도, 무역규모 9위인 이탈리아가 230개인 데 비해 우리나라는 61개에 불과한 상황.

    이처럼 세계 1위 품목 수가 저조한 것은 우리나라에 `글로벌 강소기업`이 없기 때문이라는 분석입니다.

    이에 따라 일반인들에게는 생소하지만 세계시장 상위를 차지하는 `히든챔피언` 기업을 키워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인터뷰> 조영태 지식경제부 수출입과장

    "글로벌시장을 선도하는 강소기업 육성이 필요한 시점.. 기존의 코트라의 글로벌 판로 개척, 무역보험공사의 금융지원 등을 강화해서 중소·중견기업을 `한국형 히든챔피언`으로 키워나가려고.."

    제조업 위주의 단조로운 수출품목도 문제점으로 지적됩니다.

    국내 제조업 생산 여력을 볼 때 기존 상품위주의 수출만으로는 지속적인 수출확대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전문가들은 품목 다변화를 위해 플랜트엔지니어링과 유통물류, 컨설팅 등 고부가가치 지식서비스 등을 육성해야 된다고 조언합니다.

    한국경제TV 박현각입니다.

    한국경제TV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