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26.81

  • 16.39
  • 0.63%
코스닥

773.65

  • 5.17
  • 0.67%
1/4

인구이동 '33년래 최저'‥세종·제주↑

관련종목

2025-02-19 01:02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앵커> 경기 침체로 지난해 국내이동자수가 33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급감했습니다.

    하지만 중앙부처 이동이 시작된 세종시와 국제학교 특수를 누리고 있는 제주는 인구 유입이 급격히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인철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부동산 시장 침체와 인구 고령화로 국내 이동인구수가 급감 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이사 등을 통해 이동한 인구수는 751만명.

    1년 전보다 62만명, 7.6% 급감했습니다.

    지난 1979년 732만 명 이후 33년 만에 가장 낮았습니다.

    [인터뷰] 이재원 통계청 과장

    "주택거래량이 많이 감소했다. 전반적인 추세는 인구고령화로 젊은층 인구가 줄어들고 노인층 인구가 늘어난 것도 영향을 미쳤다"

    실제로 지난해 주택거래량은 부동산 경기침체로 24만여건 이상 줄어들었습니다.

    이동이 잦은 20~30대 젊은 연령층의 취업이 어려워진 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지역별 인구 순유입률은 일부 정부부처 이전 효과로 세종시가 16.9%로 가장 높았습니다.

    인천과 제주가 그 뒤를 이었습니다.

    [인터뷰] 이재원 통계청 과장

    "서귀포에 교육도시를 건설한 것이 영향을 줬다. 연령대별로 30~40대에서 순유입률이 1위이고, 10세 미만에서 1위다. 서울에서 많이 유입되고 있다.

    제주 국제학교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서울 등 대도시로부터의 제주 인구 유입이 늘었습니다.

    반면에 인구순유출률은 전세 대란의 영향으로 서울이 가장 높았습니다.

    부산과 대구 등 대도시도 유입되는 인구보다 빠져나간 인구가 더 많았습니다.

    인구 이동 자체가 줄어들면서 2011년 처음 순유출을 기록했던 수도권은 전출이 감소하면서 7천명 순유입으로 돌아섰습니다.

    한국경제TV 이인철입니다./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한국경제TV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