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01.24

  • 20.61
  • 0.83%
코스닥

677.01

  • 3.66
  • 0.54%
1/3

"전셋값 올라도 매매가격은 요지부동"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전세값 상승이 곧 매매가격까지 오르게 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개발연구원(KDI)과 건국대학교가 참여하는 부동산시장 모니터링그룹(RMG)은 `2012년 4분기 부동산시장 모니터링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임대가격이 매매가격의 60%를 넘어서면 매매가격이 상승한다는 의견이 많았지만, 연구결과 전세가와 매매가 사이에는 뚜렷한 인과관계가 없다는 것이다.

RMG는 2002년 10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10년간 전국ㆍ서울ㆍ6개 광역시의 주택 매매가격ㆍ전세가격 증가율을 변수간 선후(先後)관계를 규명하는 `그랜저 인과관계` 모형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전국ㆍ서울에선 주택 매매가격이 오르면 한달 뒤 전세가격이 상승하는 일방적인 인과관계가 나타났다.

이와 달리 6개 광역시에선 주택 매매가ㆍ전세가 사이에 시차 없이 영향을 주고받았다. 전셋값 상승이 반드시 매매가 상승으로 이어지지 않았다는 얘기다.

4분기 매매시장에선 취득세 인하 효과로 급매물 위주의 거래가 한달간 늘어나다 하락세로 돌아섰다고 평가했다. 중대형 평형의 매매가격은 하락이 계속됐다.

서울 강남의 재건축 단지와 지방 모두 반짝 상승세를 끝내고 하락, 또는 조정압력을 받고 있다. 전국 평균을 웃돌던 세종시 지가상승률도 최근 급락했다.

전국 임대시장에선 전세가 상승이 이어졌다. 세입자들이 보증금을 올려주고서라도 이동하지 않으려 하면서 매물 품귀현상이 빚어졌다. 파주 등 일부 수도권에선 임대인의 주택가격이 대출금ㆍ전세금 상환액보다 낮아졌다.

유주연 건국대학교 부동산ㆍ도시연구원 박사는 "전세가와 매매가의 결정 요인은 다르다"며 "전세가격은 실제로 주택을 사용하는데 필요한 가치인 현재상황을 나타내고 매매가격은 여기에 미래에 대한 기대치가 추가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최근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 상승이 주택매매가 상승의 신호라고 보기는 어렵다. 공급부족과 수요증가 등 매매시장 자체 요인 때문에 매매가가 오를 수 있다"고 덧붙였다.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한국경제TV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