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국관광공사가 인천공항 내에 운영하던 면세점 민영화를 두고 인천공항공사와 갈등을 빚고 있습니다.
두 공기업의 법정 다툼은 일단락 됐지만 당장 석달 앞으로 다가온 민영화의 당위성에 대해선 논란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채주연 기자입니다.
<기자> 4천평에 달하는 인천공항 내 면세 사업장.
이 중 한국관광공사가 운영하는 면세점 면적은 16%에 불과한데, 이마저도 이용객 이동이 많지 않은 서편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2001년 인천공항 개장과 함께 공항내 면세점을 운영하면서 좋지 않은 입지와 제한된 상품에도 꾸준히 흑자를 내 왔습니다.
인천항, 평택항 등 해양 면세점까지 합친 지난해 영업이익은 140억원.
내년 2월 민영화를 앞둔 상황에서 인천공항공사는 관광공사 면세점이 세금을 축내고 있다며 사실과 다른 내용으로 논란을 일으켰습니다.
관광공사가 사과를 요구했지만 인천공항은 응하지 않았고, 결국 법정다툼까지 비화되기도 했습니다.
<전화인터뷰> 한국관광공사 관계자
"고소를 제기하기 전까지는 (인천공항이) 고압적인 자세가 분명히 있었다. 잘못을 인정받고 사과받기 위해 (고소를 했고), 사과하면 고소 취하한다는 방침이었다."
<전화인터뷰> 인천공항공사 관계자
"관광공사는 잘못된 답변이고, 위증이라고 문제제기 했던 것인데 사실상 위증은 아니다. 본 취지와 다르게 오해를 불러일으킨 것 같다."
인천공항이 관광공사 이익규모를 적자라고 왜곡해가며 민영화 당위성을 내세운 것을 두고 일각에선 임대 수익에 혈안이 된 것 아니냐고 지적합니다.
과도한 임대료가 국산품 홀대현상을 부추기고 있단 질타도 나옵니다.
인천공항 대기업 민간 면세점의 국산품 판매비중은 관광공사의 절반 수준.
기획재정부가 면세점 입찰 권리를 중소·중견기업에만 주겠다고 했지만 연간 1천억원 대 임대료를 부담하며 국산품을 팔긴 쉽지 않은 일입니다.
관광공사는 면세사업을 접게되면 국가 보조금인 관광진흥기금 의존도가 높아지는 것도 문제점으로 꼽습니다.
관광공사의 유일한 수익사업인 면세사업 수익은 관광 진흥사업에 투입되고 있습니다.
<전화인터뷰> 한국관광공사 관계자
"2001년 전에는 국가 보조금 안받았다. 면세점 사업 수익으로 충분히 운영할 수 있었다. 2001년부터 기금을 받고 있다."
국회 문방위가 만장일치로 관광공사 면세점 존치를 결의한 상황에도 기획재정부는 예정대로 민영화를 추진할 방침입니다.
외래관광객 1천만 돌파로 국내 관광 산업이 최대 호황을 누리고 있는 지금.
국산품 판로를 줄여가며 민간에 면세사업권을 넘기는 것이 합당한지, 논란이 끊이지 않을 전망입니다.
한국경제TV 채주연입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