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최근 민간발전사들이 과도한 이익을 챙기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지만 정작 민간발전사들은 2~3년 후면 사업에 한계가 올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을 타계하기 위한 대안으로 민간 발전소들은 석탄 화력발전소 확보에 올인하고 있는 형국입니다. 유기환 기자가 전합니다.
<기자> 지난해 발전 회사들의 실적을 살펴 보면 한전 자회사들과 민간 회사 간 격차는 상당히 컸습니다.
한수원을 제외한 한전 발전자회사들의 영업이익률은 5% 수준인 데 반해 민간발전자회사들은 대체로 10% 이상을 기록한 겁니다.
한국전력의 발전 자회사들이 전력 판매 시 ‘정산조정계수’를 적용받아 시장가격이 올라도 일정한 판매단가를 받게 돼 있는 반면, 민간 발전회사들은 이런 제도의 적용을 받지 않기 때문입니다.
최근 막대한 영업손실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한전이 민간발전사로부터의 전력구입 제도를 바꿔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도 이런 구조에 대한 비판이 담겨 있습니다.
<기자> “민자발전이 한전의 발전 자회사들에 비해 과당 이익을 얻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지만, 민간발전사들은 장기적인 관점으로 봐야한다며 반박하고 있습니다.”
내후년 초원자력과 석탄 등 1만MW 규모의 발전소가 준공되면 예비전력이 늘어나 민간발전회사들의 설 자리가 줄어들 수밖에 없다는 겁니다.
<인터뷰> 이재은 포스코에너지 경영기획그룹장
“이자비용 등을 빼면 당기순익 5%대에 불과하므로 높은 이익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오히려 2014년 이후 예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민간발전소 가동률이 떨어질 전망이어서 실적 악화를 걱정하는 상황이다.”
이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민간발전사들은 단가가 비싼 복합화력 대신 저렴한 석탄화력 발전소에 눈독을 들이고 있습니다.
석탄화력의 경우 생산단가가 복합화력보다 절반 이하로 저렴하지만, 피크시간 때 판매단가는 동일하게 책정돼 같은 양을 판매해도 복합화력보다 두 배 이상의 이득을 올릴 수 있습니다.
현재 포스코에너지와
SK E&S 등 민간발전회사들은 올해 말 발표 예정인 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약 50호기의 석탄화력 발전소 건설을 신청한 것도 이같은 이유에섭니다.
결국 수년 내 생존의 고민을 안게 될 민간발전사들은 현재의 과다 이익 논란을 일축하고 석탄화력 발전소 확보에 더욱 집중할 전망입니다.
한국경제TV 유기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