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94.46

  • 12.34
  • 0.50%
코스닥

693.73

  • 10.38
  • 1.52%
1/4

설 이후 대내외 경제전망…기업과 투자자 어떻게 대처하나?

관련종목

2024-12-16 03:45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설 이후 대내외 경제전망…기업과 투자자 어떻게 대처하나?

    대부분 국내기업들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를 ‘대도약의 해’로 삼는 것이 눈에 띤다. 이를 위해 △도전적인 목표 설정 △신사업 조기 가시화 △가치를 담은 제3의 성장 등을 핵심 경영전략으로 잡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글로벌 시장에 대규모 투자를 확대해 ‘메이저 플레이어’의 위상을 굳히는 방안도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대한상공회의소가 전국 1100여개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를 보면 앞으로 설비투자를 대폭 늘려 나갈 계획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대기업 뿐만 아니라 중견기업을 포함한 다른 기업들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새롭게 형성되고 있는 트렌드를 겨냥해 공격경영을 계획하고 있는 점을 시사한다.

    신규사업에 이어 주요 국내기업들이 주력하는 것이 ‘세상은 넓다’라는 인식하여 글로벌 경영에 더욱 박차를 가한다는 방침이다. 이미 주요 대기업들은 글로벌 경제위기속에서 축적한 경쟁력을 바탕으로 우위 분야에서는 추격자를 완전히 따돌리고, 녹색산업 등 신규 유망사업도 적극 발굴하고 있다. 특히 신흥시장에 공들이고 있는 점이 또 다른 특징이다.

    지금까지 마련한 주요 국내기업들의 경영전략 나타난 화두는 융·복합이다. 유·무선 통합에 이어 통신과 금융, 자동차와 신소재 등 이종(異種) 산업간 새로운 결합이 더욱 확산될 전망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계열사?동종업?이업종간의 전통적인 경계선이 급격히 무너지면서 하나의 지주회사가 모든 것을 통제해 나가는 시대를 맞이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하나의 화두는 M&A(인수·합병)다. 특히 금융권에서도 M&A를 통한 지각변동이 예상된다. 외환은행과 우리금융지주 지분 매각이 진행되면 국내 금융권 전반의 이합집산이 이뤄질 것으로 금융업계는 보고 있다. 대기업과 금융사 뿐만 아니라 중견기업을 비롯한 중소기업 시장에서도 M&A가 활발하게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

    금융위기가 극복되고 실물경기가 살아나는 초기 단계에서는 자금사정 등에 있어서 기업간 차별화가 확실하게 나면서 M&A 시장에 매물이 많이 출회된다. 이때 시장에 진입비용을 다 치른 기업들을 인수하느냐가 기업이 한 단계 도약하는냐에 관건이 되기 때문에 자금사정이 좋은 기업들은 출회된 기업인수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금융위기 이후 자산보다 빚이 많아 재무건전성에 문제가 드러난 국내기업들이 적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채권단과 재무구조개선 약정을 맺고 있는 기업들이 계열사 매각과 자본조달 등 구조조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한 뒤 다시 성장대열에 합류할 수 있을지도 2010년대 기업경영에 있어서 관심사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새로운 트랜드에 맞춘 경영전략과 함께 금융위기 이후 세계경제가 본 모습을 찾기 이전까지 갈수록 영향력이 커지고 있는 심리요인과 네트워킹 효과간의 선순환이냐 악순환 관계냐에 따라 ‘긍(肯·긍정)’과 ‘부(否·부정)’, ‘부(浮·부상)’와 ‘침(沈·침체)’이 혼재하는 시대가 지속될 점에도 대비해 나갈 계획이다. 이 때문에 경제주체들은 시장지배력 강화 등 성장기반을 마련하면서도 경제의 불확실성에 대비한 리스크(위험) 관리에 힘을 쏟는 ‘투 트랙(양면) 전략’을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도 차는 있지만 위기 이후 세계경제가 본 모습을 찾은 이후에도 심리요인과 네트워킹 효과는 커질 것으로 보여 불확실성에 대비한 전략은 상시적으로 마련해야 한다. 경제주체들인 앞으로 경기와 주가는 ‘대침체기와 대호황기’를 한순간에 언제든지 바뀔 가능성이 높은 만큼 투자를 하면서도 불확실성에 대비하는 ‘시계 확보 뒤 계획추진’을 추진해야 한다.

    특히 이번 위기를 거치면서 성장률과 같은 거시지표는 개선되지만 채산성 지표는 크게 개선이 이뤄지지 않는 여건하에서는 기업인과 투자자들은 많은 준비를 해야 한다. 이제부터는 위기론에 얽매어 경기와 주가를 비관적으로만 보는 시각은 개선돼야 한다. 위기에 대한 인식은 계속해서 갖고 있되 새로운 트렌드를 감안한 경영과 투자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그 중의 하나가 구조적인 문제에 대한 인식이다. 대표적으로 미국을 비롯한 각국의 늘어나는 재정적자와 국가채무다. 재정적자를 메우기 위해 대규모 국채를 발행하다 보면 장기채 금리는 오를 수밖에 없어 공공지출 증가를 민간지출 감소로 상쇄되는 ‘구축효과(crowding-out effect)’가 발생해 경기회복 속도를 끌어 내리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각국의 정책기조 변화가능성에도 주목해야 한다. 특히 올해는 주요 국가에서 많은 선거가 예정돼 있다. 갈수록 선거가 정치적으로 포퓰리즘이 심화되는 추세를 감안하면 복지비 지출 등 국민들의 표심을 얻을 수 있는 분야를 중심으로 정책이 언제든지 바뀔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중심통화 논의도 달러 약세와 관련해서 주목해야 한다. 벌써부터 달러 약세에 따라 중국 등이 주도가 돼 원유결제 등에 있어서 달러화를 버리고 새로운 통화를 사용하는 ‘탈(脫)달러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가장 안전하다고 평가되고 있는 미국 달러와 국채의 위상이 흔들릴 경우 대체안전자산 시장으로 자금이 몰릴 수밖에 없다.

    국제간 자금흐름에 있어서는 달러캐리 자금을 비롯한 각종 캐리자금의 움직임도 특히 기업 입장에서는 예의 주시해야 한다. 당분간 달러캐리자금은 미국 밖으로 이탈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예상치 못하게 미국의 금리가 인상될 경우 달러캐리자금이 미국내로 회귀되고 이 과정에서 환율, 주가를 비롯해 가격변수의 변동폭이 커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위기 이후 예상되는 시장성과 채산성 변수를 감안할 때 우리 정책당국과 국내기업, 투자자들은 위기 상황과 위기 이후의 상황을 동시에 감안해 정책과 경영, 투자전략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지금의 위기발생이 실물경기가 완전히 회복되기까지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또 위기가 극복된다 하더라도 체감 적으로 위기가 극복됐다고 느끼기에는 또 시간이 걸릴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위기 이후 경영과 투자환경에 있어서 성장률과 같은 눈에 잘 보이는 경제지표는 개선되는데 정작 기업이 중시하는 채산성은 그만큼 개선되지 않아 착시현상이 우려된다. 이처럼 착시 현상이 나타날 때에는 기업들이 어떤 전략으로 가겨가느냐는 매우 중요한 문제다. 착시현상을 무시할 경우 과잉투자 문제에 봉착해 또 다른 부실과 위기를 낳을 수 있다.

    이 때문에 기업들은 핵심과 지속 가능한 성장기반을 만드는 사업은 ‘전향적’으로 투자하되, 범용 표준화된 사업은 ‘보수적’으로 투자해 현금 흐름을 중시하는 이원적(two-track)인 전략을 추진해야 한다. 자금운용 계획도 이원적 전략에 맞춰 먼저 범용 표준화된 부문을 줄여, 그 곳에서 절약된 자금을 핵심과 지속 가능한 투자에 집중하는 ‘페이 고(Pay-GO)’ 원칙을 적용해 보는 것은 매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위기 이후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닥칠 새로운 트렌드에 대비해 놓는 것도 중요한 과제다. 특히 미국의 금융개혁법 추진에 따른 금융환경 변화에 주목해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갈 필요가 있다. 글로벌 전략은 브릭스 지역을 공생적 투자, 베트남 등 포스트 브릭스 지역은 화전인(火田人)식 투자 등의 이원적 전략을 추진해야 한다.

    또 전 세계적으로 위기 후 차세대 성장산업으로 녹색성장 사업이 부각될 것으로 예상된다. 기업이나 투자자 입장에서는 새로운 성장산업에 따라가지 못할 경우 위기 이전보다 위상이 떨어질 수 있다. 이밖에 앞으로 전개될 ‘기후변화협약’ 등에 따른 제조공정과 금융 및 경영환경 변화에도 대비해 놓을 필요가 있다.

    <글. 한상춘 <a href=http://sise.wownet.co.kr/search/main/main.asp?mseq=419&searchStr=039340 target=_blank>한국경제TV 해설위원 겸 한국경제신문 객원논설위원>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한국경제TV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