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어제 발생한 울산 석유화학공단의 정전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정부 합동조사단이 꾸려졌습니다.
하지만 명백한 한전 측의 과실로 밝혀져도 적정한 보상에 나설지 의문입니다.
조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올해만 벌써 세번째 대규모 정전입니다.
지난 1월 17일 여수국가산단, 9월 15일 전국 순환 정전사태, 그리고 지난 6일 울산 석유화학공단까지 피해액은 각각 수백억원에 달합니다.
한전은 이번 울산 화학공단 정전이 지난 10월 증설한 한전 변전소 선로를 시험하는 과정에서 발생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례적으로 한전의 설비 문제를 먼저 인정한 것입니다.
하지만 피해 보상을 앞두고는 입장이 달라집니다.
<전화인터뷰> 한전 관계자
“(한전 잘못인가?) 지금 조사 중인데.. 선로 차단기와 관련해서 정부조사단 내려갔으니 기다려 봐야 한다. (선로 차단기 만든 기업의 문제라고 결론 날수도 있나?) 그런 부분까지도 예상.. (왜 먼저 발표했나?) 전력수급부족이나 요금 인상 등에 관심이 집중되면 안되지 않나.”
사실상 대규모 정전대란 우려를 막기 위한 발표였을 뿐, 기업에 대한 피해 배상 여부는 미지수입니다.
707억원의 피해를 입었던 여수산단의 경우, 1차적인 원인은 한전에게 있지만 기업에게도 일부 원인이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오며 결국 보상을 받지 못했습니다.
산단내 기업 관계자는 “전력 공급권을 가진 한전을 상대로 소송을 벌이는 것은 큰 부담”이라며 “그저 앞으로 동일한 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대책을 마련해 달라”고 요청할 수 밖에 없었다”고 답했습니다.
사상 초유의 9.15 정전대란도 지난 10월 말부터 피해 보상을 시작했지만, 현재까지 보상 규모는 총 628억원 중 4천94만원에 불과합니다.
울산 화학공단 내 기업들도 벌써 우려가 큽니다.
피해 규모가 여수산단에 비해 결코 적지 않은데, 정부는 벌써부터 ‘미미하다’고 말하기 때문입니다.
<전화인터뷰> 울산 석유화학공단 관계자
“복구가 먼저다. 수일내 복구가 끝나고 재가동하더라도, 기계나 제품을 다시 점검해야 한다. (특히 정전시) 들어간 반제품이 정상제품으로 나올지, 정상가격을 받을 수 있을지 다 추산해야 한다.”
기업들은 무엇보다 정전사고 때마다 강조되는 선진적이고 구체적인 피해보상 규정과 지침, 절차가 실질적으로 구축되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WOW-TV NEWS 조연입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