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연일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물가에 대형마트들이 가격 거품을 뺀 자체 브랜드 상품으로 소비자 공략에 나섰는데요,
이런 PB 상품들이 회사의 매출은 물론 인지도 상승에도 톡톡한 공을 세우고 있습니다.
최근엔 PB 열풍의 원조격인 `통큰 치킨`을 소재로 한 뮤직비디오까지 나왔는데요, 김서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최근 온라인에서 화제를 모으고 있는 뮤직비디오.
`대중소 동반성장`을 주제로 대기업과 중소기업 측 경제인들이 랩 배틀을 벌입니다.
<M/V> 김정호 / 자유기업원 / 원장 (경제학 박사)
"통큰 치킨 나왔을 때 기억하니, 맛있고 값도 싸서 소비자들 좋아했지. / 기업의 착한 짓은 바로 좋은 제품 싸게 파는 것이야."
수많은 상품 중에 굳이 `통큰 치킨`을 예로 든 이유는 뭘까.
<인터뷰> 김정호 / 자유기업원 / 원장
"대형할인점이 만들어 놓은 값싸고 맛있는 제품이었는데 판매 중단을 할 수 밖에 없는 제품이었다는 그 스토리를 누구나 다 알고 있거든요. `통큰치킨`이라는 말 한마디면 그 이미지 전체가 다 떠오를 수 있기 때문에."
<브릿지> 김서연 / 기자
바로 여기가 사람들이 통큰치킨을 사기 위해 줄을 섰던 자립니다. 그게 벌써 지난해 12월의 일인데,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통큰치킨을 기억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소비자
"개시되자마자 냅다 뛰어가서 샀는데. 나중에 30분만 지나도 없어가지고."
<인터뷰> 소비자
"너무 빨리 끝나서 나중에 오면 항상 없어서 못 샀거든요."
<인터뷰> 김상헌 / 롯데마트 / 당시 통큰치킨 판매직원
"저희 롯데마트 매장 열기 전부터 밖에서 고객들께서 줄을 서 계셨거든요. 문 열고 나서 1시간내로 다 팔릴 정도로.. 저희가 번호표를 나눠드렸습니다. 번호표가 1시간 내로 다 떨어질 정도로.. 오픈하고나서 그정도로 인기가 좋았습니다.
비록 치킨 판매는 일주일만에 중단됐지만 롯데마트는 여세를 몰아 `통큰` 마케팅을 이어가면서 위기를 기회로 바꿨다고 자평했습니다.
<인터뷰> 이연수 / 롯데마트 / 마케팅전략팀 / 팀장
"롯데마트가 업계에서 특히 브랜드 전략에 관한 한 성공적인 역할을 하는 계기가 됐습니다. .. 가장 눈에 띄는 건 롯데마트의 브랜드 인지도가 굉장히 올라갔다는 점입니다. 실제 고객분들의 만족도나 충성도도 많이 높아졌습니다."
"대형할인점 PB상품은 싸고 좋다"는 소비자 인식이 확산되면서 국내 할인점 시장에 이른바 PB상품 전성시대가 열린 겁니다.
실제로 롯데마트가 `물가안정을 위한 상품혁명`을 내걸고 출시하는 `통큰` 상품마다 연일 대박을 터뜨렸습니다.
새우튀김이나 초밥 같은 조리식품에서부터 짜장, 카레 등의 즉석식품, 그리고 김치와 TV까지 종류도 다양합니다.
<인터뷰> 통큰초밥 구매자
"이게(통큰초밥) 딴데보다 좀 싸요. 크기는 비슷한데. / 골라담을 수도 있어요."
고물가 시대에 이렇게 알뜰해진 소비자들의 지갑을 열기 위해 대형할인점마다 경쟁적으로 새로운 PB상품을 내놓고 있는 상황.
여기에 업체들은 낮은 가격과 좋은 품질 외에도 눈에 보이지 않는 `가치`를 차별화 포인트로 삼기도 합니다.
롯데마트는 지난 3월 `대중소 기업의 동반성장`이라는 의미를 담아 `손큰`이라는 자체 브랜드를 새롭게 론칭했습니다.
<인터뷰> 이연수 / 롯데마트 / 마케팅전략팀 / 팀장
"통큰은 `물가 안정`을 브랜드 아이덴티티로 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손큰은 동반성장을 브랜드 아이덴티티로 삼고 있습니다.
그 각각의 물가 안정과 동반성장이라는 가치를 잘 내포하고 있는 상품들을 저희가 엄선해서 브랜드를 부여하고 있습니다."
롯데마트는 협력사인 `삼영`과 함께 `손큰 두부`를, `농수식품`과는 `손큰 콩나물`을 선보이고 있는데 이들 협력사에는 원료 구매 대금을 미리 지급하는 등의 혜택을 제공합니다.
한 판에 1만1천500원하는 롯데마트 전용 피자도 입점업체가 팔고 있는 때문에 협력사와의 상생을 상징하는 `손큰` 브랜드를 달고 판매됩니다.
<브릿지> 김서연 / 기자
"롯데마트에서는 10가지가 넘는 통큰과 손큰 상품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롯데마트는 올해 안으로 이들 상품을 30개까지 늘려갈 방침입니다."
일각에서는 PB상품의 승승장구를 두고 "영세 상인들의 설 자리가 좁아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내놓기도 합니다.
경제 전문가는 이에 대해 "유통 산업의 선진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불가피한 현상"이라며 "PB상품에 대한 최종 평가는 소비자의 몫"이라고 답변했습니다.
<인터뷰> 김정호 / 자유기업원 / 원장 (경제학 박사)
"이것은 반드시 겪고 넘어가야 하는 과정입니다. 복잡한 유통구조가 단순화되는 과정이고, 유통마진이 굉장히 커서 산지가격과 소비자가격 간의 차이가 굉장히 크던 그 문제가 해결되어 가는 과정이죠.
`정치의 주인은 유권자듯 경제의 주인은 소비자`. 경제의 궁극적인 주인 모든 경제 문제에 대한 결정권은 소비자에게 있다고 생각합니다."
WOW-TV NEWS 김서연입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