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3대 신용평가사 중 하나인 무디스의 전직 고위 임원이 수수료 이익에 눈멀어 객관적인 평가를 못하는 신용평가사의 구조적 문제를 폭로했다.
이번 폭로는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의 미국 신용등급 강등 이후 미국 정부와 의회가 신평사의 평가 관행에 철퇴를 가할 움직임을 보이는 때에 제기됐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미국 CBS 방송과 경제전문인터넷매체 `비즈니스 인사이더`는 21일 1999년부터 작년까지 무디스에서 일하며 선물 분야 선임 부회장까지 역임했던 윌리엄 해링턴이 이달 초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보낸 78쪽짜리 문건에서 무디스에서 일선 애널리스트의 등급평가 결과는 자주 무시됐다고 주장했다.
실무자의 평가와 관계없이 무디스내 등급 판정 위원회가 `특정회사가 특정 등급을 받을 만하다`고 판단하면 경영진은 그 판단을 투표라는 형식적인 절차를 통해 추인하는 `거수기` 역할을 하는 경우가 다반사라는 것이다.
또 무디스 경영진이 `평가대상`이자 자신들에게 수입을 안기는 고객인 기업들을 만족하게 하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면서 입맛에 맞지 않는 평가결과를 내 놓는 애널리스트는 `골칫거리`로 여긴다고 소개했다.
이처럼 `분위기파악`을 못하는 애널리스트들은 징계 또는 타 부서로의 인사조치를 당하거나 괴롭힘을 당하는 것은 물론 심할 경우 해고까지 당한다고 해링턴은 주장했다.
이런 과정을 거치고 나면 강직한 애널리스트들도 신평사의 `순종적인 시민`이 되곤 한다는 것이다.
또 의회 청문회장에 불려간 신평사 경영진이 위증했을 때도 증인으로 나선 또 다른 임원이 교묘하게 일을 무마시키곤 했다고 해링턴은 밝혔다.
그러나 해링턴 역시 선의의 `공익 폭로자`로 볼 수 있을지 의심스럽다고 CBS는 지적했다.
해링턴 또한 퇴사전까지 4년간 부실한 모기지 담보부 증권에 최고등급을 거푸 부여했던 당사자로 미국발 전세계 금융위기를 낳은 `서브프라임 사태`를 야기한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것이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