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로권이 유럽 3위 경제국인 이탈리아까지 본격적으로 흔들리기 시작한 상황에서 역내 채무 위기의 진원지인 그리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간 금기시해온 `선별적 디폴트(채무 불이행)` 허용 문제까지 논의하기 시작한 것으로 11일(이하 현지시각) 전해지는 등 위기 확산을 막기 위해 계속 안간힘을 쓰고 있다.
유로권은 그리스를 1차 구제했음에도 불구하고 채무 위기가 해소되지 않자 1차 구제 때와 유사한 1천200억유로 가량을 추가 지원하기로 원칙적으로 합의하고 핵심 선결 사안인 채권 은행단의 `자발적 차환`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 약 2주 간 마라톤 협상해왔으나 결론을 내지 못했다.
왜냐하면 신용평가기관들이 `자발적 차환이란 시장 논리에 어긋난다`면서 설사 유로 당국과 채권 은행단 간에 합의가 이뤄진다고 해도 선별적 디폴트로 처리할 것임을 경고해왔기 때문이다.
차환이 실현될 경우 핵심적인 보증 역할을 해야 할 유럽중앙은행(ECB) 역시 `현실적인 금융시장 논리`를 앞세우며 유로 재무장관들의 이런 노력에 걸림돌이 돼왔다.
이 때문에 유로 재무장관 회담은 차환으로 `급한 불을 끄려던` 그간의 입장에서 모두 3천500억유로에 달하는 전체 그리스 채무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쪽으로 급선회한 것으로 파이낸셜 타임스가 앞서 보도했다. 이 방안은 독일과 네덜란드 등이 반대해 논의 대상에서 제외됐던 구상이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12일 전날 브뤼셀에서 열린 유로 재무장관 회담에서 이런 현실적인 한계를 감안해 "그리스에 대한 선별적 디폴트를 허용하는 문제가 처음으로 논의됐다"고 익명의 회담 참석자를 인용해 보도했다.
그러나 민간 채권단의 자발적 차환 동참 문제도 계속 논의되고 있다고 이 참석자는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디디에르 레인더스 벨기에 재무장관은 회담에 앞서 기자들에게 "신용 평가가 아닌 해결책을 찾는 것이 더 중요하다"면서 "(그리스 채무 차환에 대해) 신용평가사들이 부정적으로 평가해도 문제가 안된다"라고 말했다. 개의치 않겠다는 의미다.
유럽연합(EU)은 유로 위기국들에 대한 잇단 등급 하향이 문제 해결을 더욱 어렵게 한다면서 `이를 무시하겠다`는 강경한 태도를 보인 바 있다.
ECB의 장-클로드 트리셰 총재도 지난 7일 무디스가 포르투갈의 신용 등급을 `투자 부적격` 수준으로 4단계나 떨어뜨렸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유동성을 공급하겠다"고 선언했다.
저널은 유로 재무장관들이 그간 그리스에 선별적 디폴트를 허용할 경우 또다른 채무 위기국인 포르투갈, 아일랜드, 스페인 및 이탈리아 국채가 대거 투매될 것임을 우려해 강한 반대 입장을 취해왔음을 상기시켰다.
그리스에 대한 선별적 디폴트 허용 문제가 논의됐다는 보도가 나온 후 달러에 대한 유로 가치는 11일 한때 `심리적 저지선`인 1.40 밑으로 주저앉아 지난 5월 23일 이후 최저를 기록했다.
이탈리아 국채 수익률도 더욱 치솟아 이날 10년 만기물의 독일 국채(분트)와의 스프레드(수익률 차이)가 300베이시스포인트(1bp=0.01%)까지 상승해 5.67%로 뛰었다. 수익률은 지난 8일 주말장에 5.28%를 기록한 바 있다. 가격과 반대로 가는 수익률 상승은 그만큼 투자를 위험하게 본다는 얘기다.
로이터는 이탈리아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이 5.5-5.7% 수준까지 상승하면 이 나라가 재정을 관리하는 것이 버거워질 수 있는 것으로 금융시장이 판단하고 있다고 앞서 보도했다.
이런 가운데 줄리오 트레몬티 이탈리아 재무장관은 11일 이탈리아 채권이 투기꾼의 목표가 되고 있다면서 "이를 견제하기 위해 시장에 강력한 신호를 보낼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재정 감축안이 일주일 안에 의회에서 승인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유권자를 의식해 감축안 처리를 늦추려는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총리와 강하게 마찰해왔다.
한편 유로 그룹(역내 재무장관 모임) 의장인 장-클로드 융커 룩셈부르크 총리 겸 재무장관은 11일 재무회담을 주재한 후 기자들에게 유럽재정안정기금(EFSF)을 "보다 융통성 있게 운용할 수 있도록" 회담에서 의견이 모였다고 전했다. 또 구제받은 유로 위기국들에 대해 자금 상환 연장을 허용하고 적용하는 이자율도 낮춰주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AP는 융커가 EFSF를 어떻게 융통성 있게 운용할 지에는 언급하지 않았으나 그간의 관측을 종합할 때 EFSF가 시장에 직접 개입해 위기국들의 채권을 매입함으로써 가격 안정을 유도하려는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