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말 기준으로 151만t에 이르던 정부의 공공비축쌀 규모가 오는 10월말에는 88만t으로 40% 이상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고 농림수산식품부가 11일 밝혔다.
이 같은 규모는 정부의 적정재고량 72만t보다는 여전히 많은 것이지만 대북식량지원과 같은 외부유출 없이 단기간에 비축쌀이 크게 줄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특히 작년에 이어 올해 또다시 벼농사가 흉작이 되면 쌀 공급에 차질을 초래하면서 가격이 급등하는 상황까지 우려되고 있다.
농식품부는 "올해 10월말 기준 쌀 재고는 약 88만t 수준으로 예상돼 적정 재고량 72만t보다 약 16만t 많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이 같은 규모는 작년말 재고량 150만9천t보다 약 63만t 줄어든 것으로 10개월만에 무려 41.7%나 감소하게 되는 것이다.
농식품부는 올해 초까지만 해도 오는 10월 쌀 재고량을 135만7천t 정도로 예상했었다. 6개월 만에 쌀 재고량 추정치가 48만t이나 줄어들었다.
이 때문에 정부의 쌀 수요·공급 예측 및 분석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게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최근 몇년간 정부의 연말기준 쌀 재고량은 2004년 85만t, 2005년 83만2천t, 2006년 83만t, 2007년 69만5천t, 2008년 68만6천t, 2009년 99만3천t, 2010년 150만9천t 등이었다.
전임 노무현 정부에선 매년 수십만t 규모의 쌀을 북한에 지원, 재고량이 68만6천~85만t 수준을 유지했으나 현 정부 출범 이후인 2008년, 2009년 잇따라 풍년이 들고 대북 쌀 지원도 무산되면서 쌀 재고량이 급증했던 것이다.
하지만 2010년에 흉년이 들면서 작년 가을부터 쌀가격이 오르자 정부가 쌀값 안정을 위해 비축미를 적극적으로 방출, 북한에 쌀을 지원하지 않고도 재고량이 단기간에 급격히 줄어들게 됐다.
이에 따라 농식품부와 전문가들은 올해 벼농사 작황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그러나 조짐은 여전히 좋지 않다. 올해 벼 재배면적이 85만5천ha로 작년보다 4.1%(3만6천ha) 감소한 데다가 불량볍씨 보급 파동 등이 발생, 벼농사 풍작에 대한 기대에 먹구름을 드리우고 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10ha당 생산량이 평년에는 500kg였으나 2010년엔 482kg에 불과해 쌀 생산량이 429만5천t에 그쳤다"면서 "올해도 작년처럼 10a당 482kg 정도 생산되면 재배면적 감소로 쌀 생산량은 412만1천t에 머물 것"이라고 분석했다.
작년과 같은 생산성을 보이더라도 전체 생산량이 작년보다 18만t 정도 줄어들게 돼 쌀 공급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결론이다.
더욱이 올해 정부는 쌀값 안정을 위해 2010년산을 우선적으로 방출해 현재 남아있는 재고가 대부분 2009년산과 2008년산이라는 점도 문제다.
올해 또다시 흉작이 돼 공급량이 모자라게 되면 소비자들의 `햅쌀 선호, 묵은쌀 기피` 경향 때문에 쌀값 급등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다른 농식품부 관계자는 "최근 각종 물가가 계속 오르면서 쌀 소비 감소가 주춤해지고 오히려 예전보다 쌀 소비가 늘어나는 조짐을 보이고 있어 쌀 수급에 새로운 변수가 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