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가 약국 외 판매 품목으로 예시한 가정상비약과 약사단체가 일반약 전환을 요구한 전문약의 매출액 합계가 최소 4천억원에 달해 현재 진행 중인 의약품 재분류가 제약업계에 일대 파란을 몰고올 전망이다.
24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복지부가 지난 21일 열린 중앙약사심의위원회(약심) 의약품분류소분과위원회 2차회의에서 약국 외 판매 의약품으로 예시한 가정상비약 10개 품목의 지난해 국내 매출은 1천억원을 훌쩍 넘어섰다.
먼저 약국 외 의약품으로 예시된 해열진통제 3종의 매출은 바이엘의 아스피린이 290억원, 얀센의 타이레놀 283억원, 삼일의 부루펜 83억원으로 총 656억원에 달했다.
또 종합감기약의 지난해 매출은 동화의 판콜이 163억원, CJ의 화이투벤 22억원, 중외제약의 화콜 17억원 등 모두 202억원으로 나타났다.
소화제는 한독의 훼스탈이 96억원, 대웅제약의 베아제 45억원으로 총 139억원을 기록했다. 파스류인 제일약품의 쿨파프는 27억원을 기록했다.
이들 9개 품목의 매출 합계는 지난해 1천26억원에 이르렀다. 대화제약[067080]의 대신핫파프카타플라스마의 매출액은 집계되지 않았으나 대략 10개 품목의 매출이 1천100억원대에 근접할 것으로 추산된다.
대한약사회가 지난 21일 약심 2차회의에서 일반약 전환을 요구한 전문약 20개 성분 479개 품목의 지난해 매출은 총 3천278억원으로 집계됐다.
먼저 가장 논란의 중심에 서 있는 사후피임약 레보노르게스트렐은 80억원에 이른다.
손발톱무좀크림인 아모롤핀은 14억원, 비만약 오르리스타트 125억원, 진통제 유모베이트 3억원, 인공눈물 옥시테트라사이클린염산염 8억원, 변비약 락툴로오스 71억원으로 집계됐다.
또 결막염치료제 클로람페니콜은 2천만원, 소화제 시메티딘은 145억원이었다.
인공눈물 히알우론산나트륨은 635억원, 소화약 자니티딘 29억원, 인공눈물 아젤라스틴 12억원, 소화약 라니티딘 620억원, 비염약 부데소니드 257억원의 매출을 보였다.
아울러 식도염치료제 오메프라졸 188억원, 비염약 플루티카손 430억원, 위궤양치료제 란소프라졸 155억원, 항히스타민제 로라타딘 29억원, 위궤양치료제 판토프라졸 376억원, 항히스타민제 펙소페나딘 63억원, 해열진통제 디클로페낙나트륨 16억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