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전세금 상승폭이 소득 증가액을 5배가량 웃돌면서 전세 비중이 줄고 월세 비중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가격 하락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 수도권의 월세 비중이 빠르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가 25일 발표한 `전세 시장 동향 및 구조 변화''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년간 전국 임대차 계약 중 전세의 비중은 62.3%에서 52.9%로 9.4%포인트 감소했다.
이에 반해 반전세는 13.8%로 4.8%포인트 늘었으며, 월세는 33.5%로 4.6%포인트 증가했다.
KB경영연구소는 전세금이 소득보다 더 큰 폭으로 상승한 데 따른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전국아파트 평균 전세금은 최근 2년간 1억2천298만원에서 1억5천613만원으로 2천865만원(23.3%) 상승했지만, 전국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2년 전보다 24만1천원(7.1%) 상승하는데 그쳤다는 설명이다.
2년간 전국 가구의 평균 소득증가액은 약 578만원으로 전세금 상승분보다 5분의 1 수준에 불과해 전세금 상승분을 충당하기 어려운 수준이다.
가계소득에서 가계지출을 제외한 가계 흑자액의 경우 작년 기준 월평균 67만1천원에 머물렀다.
가계 흑자액 43개월치를 모아야 2년간 전세금 상승분을 충당할 수 있어 19개월의 격차가 발생했다.
월소득으로 아파트 전세금을 마련하는 데는 3.5년이 소요되며, 가계 흑자액으로는 약 19년이 소요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KB경영연구소는 부동산 중개업소 설문조사를 토대로 수도권의 전세가격 상승 원인을 주택가격 하락 기대감에 따른 전세 선호 현상으로 분석했으며, 비수도권의 경우 신규주택 공급 부족으로 분석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