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의 안정화 대책에도 불구하고 맞춤형 종합자산관리 상품인 랩어카운트의 급증세가 멈추지 않고 있다.
증시 상승세에 편승한 수익률 올리기라지만 하락장 리스크도 고려해야 한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6일 금융당국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말 현재 증권사들의 전체 랩어카운트 계약 자산 규모가 36조124억원으로 집계됐다.
2001년 도입돼 2005년부터 확산된 랩어카운트는 2009년 말 20조원을 넘어 같은해 8월 말에는 32조2천968억원으로 증가한 뒤 석달만에 4조원가량이 더 불었다.
특히 투자자문사가 추천하는 소수 종목에 집중투자하는 자문형 랩 상품은 시판 초기인 2009년 3월 284억원에서 지난해 8월 말 2조8천356억원으로 증가한데 이어 11월 말에는 4조131억원으로 급증했다.
금융당국은 랩어카운트의 급성장세를 `과열''로 보고 지난해 9월 안정화 대책까지 내놨으나 이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급증세가 계속되고 있다.
저금리가 이어지고 있는데다 코스피지수가 1,700선을 넘어서면서 계속된 펀드 환매로 이탈된 자금의 상당 부분이 랩 상품으로 이동했기 때문이다.
지난해에만 국내외 주식펀드에서 28조원 넘게 빠졌다.
그러나 증시 전문가들은 랩어카운트의 `브레이크 없는'' 질주가 주식시장 조정시 대규모 투자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리스크 관리에도 미리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랩어카운트가 펀드에 비해 시장 변화에 대한 대응력이 좋긴 하지만 규모가 커지면서 급락장에서 기민성을 발휘하기가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자본시장연구원의 송홍선 연구위원은 "현재 랩 상품 대부분은 다양한 운용방식을 구사하기보다 일부 우량 종목을 집중 매수해 수익률을 높이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면서 "시장 변화에 한발 앞서 움직이면 위험을 피할 수 있겠지만 다소 늦으면 손실을 피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아울러 "몸집이 커져 시장 변화에 즉각 대응하기가 힘들어질 수 있기 때문에 투자자들은 리스크 관리를 위해 미리 움직일 준비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