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지주의 분할 매각 여부가 다음달에 확정돼 공개된다.
매각 절차를 고려할 때 우선협상대상자는 내년 상반기에 선정될 전망이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다음달에 발표되는 우리금융 민영화 방안에는 우리금융 자회사들의 분할 매각 여부가 포함될 가능성이 상당히 큰 상황이다.
이와 관련,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현재 우리금융을 일괄 매각하는 경우와 분할 매각하는 경우의 장단점에 대한 세부적인 분석작업에 들어간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위 관계자는 "어떤 방식이든 지분 매각은 경쟁입찰 형태로 이루어질 것"이라며 "오는 7월에는 매각 주간사를 선정할 예정인데 관례를 감안할 때 외국사와 국내사가 공동 주간사로 참여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예금보험공사가 전체 지분의 57%를 보유한 우리금융지주는 우리은행, 경남은행, 광주은행, 우리투자증권, 우리아비바생명, 우리자산운용 등 10개 자회사를 거느린 대형 금융그룹이다.
분할 매각으로 결론이 나면 지방은행과 우리투자증권 등을 따로 팔고 핵심 매물인 우리은행도 합병이 아닌 현금을 받고 지분을 파는 방식이 될 공산이 크다.
박정현 한화증권 애널리스트는 "공적자금 회수 측면에서는 분할 매각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며 "다만, 계열사들을 따로 팔면 절차가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고 말했다.
일괄 매각 방식을 택하게 되면 다른 은행지주회사와 합병하는 방식이 될 가능성이 높다.
우리금융지주 인수대금은 8조~9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국내사 중에 이 정도의 자금을 동원할 수 있는 곳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빠른 시일 내에 우리금융지주를 민영화하려면 KB금융지주나 하나금융지주 등과 합병하는 것이 가장 현실적이라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대형 은행간 합병으로 초대형 은행이 탄생하면 정부가 은행산업을 통제하기는 용이해지나 소비자에게는 불리할 것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금리와 수수료 등 가격 결정권을 갖게 된 초대형 은행이 소비자 위에 군림할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금융위는 우리금융지주 지분을 매각할 때 공적자금 회수를 1차적인 목표로 하면서 국내 금융산업에 미치는 영향도 고려하겠다는 입장이다.
공적자금이 투입된 부실은행을 모아 2001년에 설립한 우리금융지주의 지배지분을 정부기관인 예보가 10년째 보유하고 있어 민영화에 속도를 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금융위 관계자는 "우리금융지주 민영화 방안을 발표한 이후 매각 작업에 속도를 낼 것"이라며 "다만 매각공고를 낸 이후 인수제안서를 받고 인수 희망기업이 실사를 벌이는 등의 절차가 있어 우선협상 대상자 선정은 내년 상반기에나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