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학硏 김지은 박사-하버드의대 공동 연구
한국과 미국 공동 연구진이 '온몸이 쑤시고 아픈' 통증에 시달리면서 꾀병으로 오해를 받아온 섬유근육통의 원인이 뇌 신경망에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한국한의학연구원(KIOM·원장 이혜정)은 13일 임상연구부 김지은 박사가 하버드의대 비탈리 나파도우 교수와 함께 섬유근육통 환자의 뇌 신경망이 정상인과 차이가있다는 사실을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 기법으로 규명했다고 밝혔다.
침의 치료 효과 규명을 위한 국제 공동연구에 앞서 진행된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인 '미국류마티스학회지'(Arthritis and Rheumatism, 5월호)에 게재됐다.
연구진은 통증이 없는 성인 정상군 14명과 섬유근육통 환자 35명을 대상으로 fMRI를 통해 뇌의 기능적 연결망(functional brain connectivity) 차이를 비교·분석했다.
먼저 인체에 통증이 발생했을 때 통증을 자각하고 이 정보를 뇌에서 일차적으로처리하는 뇌 영역인 일차체성감각피질을 분석했다.
그 결과 정상군은 외부에서 통증이 가해져야 일차체성감각피질 간 연결상태가감소한 반면 섬유근육통 환자는 외부 자극이 없는 안정상태에서도 전반적인 일차체성감각피질 간의 연결상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이처럼 정상인에서는 통증이 유발됐을 때 뇌에 특이적으로 나타나는기능적 연결 감소 현상이 섬유근육통 환자에서는 안정상태에서 관찰되는 이유를 섬유근육통 환자의 주된 증상인 만성 전신성 통증 때문으로 해석했다.
연구진은 이어 섬유근육통 환자가 대표적으로 느끼는 통증인 근육통을 실험군에유발한 후 통증 자각과 함께 통증의 감정적 부분을 처리하는 뇌의 영역인 앞뇌섬 피질을 분석했다.
그 결과 섬유근육통 환자는 일차체성감각피질과 앞뇌섬 피질 사이에 기능적 연결망의 연결 상태가 통계적 유의한 수준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섬유근육통 환자의 통증 정도와 통증에 대한 공포감이 클수록 섬유근육통 환자의 일차체성감각피질과 앞뇌섬 피질 사이에 기능적 연결망의 연결 정도가 큰 것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뇌 신경망의 이런 차이가 만성적 통증으로 인해 생긴 것인지 아니면 뇌신경망의 기질적 차이가 통증을 일으키는 것인지는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김지은 박사는 "섬유근육통은 우리나라 인구의 2∼4%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졌다"며 "이 결과를 바탕으로 섬유근육통 환자의 변화된 뇌 기능적 연결상태를 정상으로 되돌리는 방법을 통해 섬유근육통을 치료할 길이 열릴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scitech@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