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36.52

  • 1.08
  • 0.04%
코스닥

839.98

  • 7.99
  • 0.96%
1/2

< KAIST '체온전력생산기술' 세계 10대 IT혁신기술 선정>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 KAIST '체온전력생산기술' 세계 10대 IT혁신기술 선정>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사진있음>>조병진 교수팀 세계 최초 개발…체온으로 전기생산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과 조병진 교수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개발한 '웨어러블(Wearable) 발전소자(체온 전력 생산기술)'가 세계10대 정보기술(IT) 혁신기술에 선정됐다.

KAIST는 유네스코가 에너지, 환경, 교육 등 인류의 삶에 큰 영향을 줄 새로운 IT 혁신기술 10개를 선정해 매년 시상하는 '유네스코 Netexplo award 2015'에 조 교수 연구팀의 '웨어러블 발전소자'가 포함됐다고 29일 밝혔다. 시상식은 다음 달 4일프랑스 파리에서 열린다.

10대 IT 혁신기술은 200여명에 이르는 전 세계 IT 전문가의 투표를 통해 선정됐다. 10개 기술 중 그랑프리는 오는 31일까지 네티즌 온라인 투표로 결정된다.

이 기술은 유리섬유 위에 열전 소자를 구현한 것으로, 체온을 이용해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지난해 4월 발표 당시 미국의 유력방송인 ABC와 영국의 저명신문인데일리 등 전 세계 주요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웨어러블 기기는 미래 전자기기의 중심이 될 것으로 전망되지만, 자주 충전해야하는 배터리 문제가 확산의 큰 걸림돌로 지적되고 있다.

하지만 웨어러블 발전 소자는 체온으로 전기를 생산하기 때문에 쉽게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매우 얇고 가벼워 착용이 쉬운 것도 장점이다.

자동차, 공장, 항공기 등 폐열이 발생하는 다양한 곳에서도 적용할 수 있어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도 적합하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특히 헬스케어 및 의료용 패치 등에 활용하면 삶의 질 향상에도 큰 도움이 될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의 상용화를 위해 ㈜테그웨이란 KAIST 교원기업을 창업했다.

최근에는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의 '드림 벤처스타 기업'으로 선정돼 지원을 받고 있다.

이번에 유네스코가 선정한 10대 IT 혁신기술은 다음과 같다.

▲ KAIST 웨어러블 열전소자 ▲ 중고 스마트폰 이용한 불법벌목 근절(미국) ▲자전거 친화 도시 개발 앱(칠레) ▲ 젓가락 이용 음식 성분 분석(중국) ▲ 데이터베이스(DB) 활용 초소형 성분 분석기(이스라엘) ▲ 이메일 및 각종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통합 채팅 스트림(미국) ▲ 폐전자제품으로 만드는 3D 프린터(토고) ▲ 빅데이터를 통한 교육문제 해결(미국) ▲ 사진 촬영으로 수학문제 해결(크로아티아) ▲ 에볼라 확산방지 정보 앱(나이지리아) 등이다.

sw21@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