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거래소는 정부의 서비스산업 육성 대책의 하나로 계획한가격제한폭 확대 조치를 다음 달 15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로써 ±15%이던 주식 가격제한폭이 ±30%로 확대된다. 이는 1998년 말 가격제한폭이 ±12%에서 ±15%로 완화된 이래로 17년 만이다. 가격제한폭 확대 조치가 주식시장에 가져올 변화는 상당할 것으로 예상한다.
거래소는 이번 가격제한폭 확대를 통해 가격발견기능 확보와 시장 비효율성 해소, 자석 효과와 상하한가 굳히기·따라잡기 등 불공정 거래 근절 효과를 예상하고있다. 또 미국과 독일, 유럽 등 선진국 증시 대부분이 가격제한폭이 없다는 점을 고려할 때 결국 가격제한폭 제한 조치는 완전히 폐지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번가격제한폭 확대 조치는 이를 위한 초석이 될 가능성이 크다.
다음 달 시행 이후 나타날 변화를 생각해보면 제도 도입 초기에는 일시적으로개인투자자들의 대형주 선호 경향이 강해질 것으로 보인다.
가격제한폭이 확대되면 당분간 우량 대형주와 펀더멘털(기초체력)이 취약한 중·소형주간의 변동성 격차가 크게 벌어지고 중·소형주에 대한 개인투자자들의 수급이 취약해질 개연성이 높다.
결국, 중·소형주에 대한 외국인과 기관의 참여가 활발해져 주가 변동성과 관련한 안전판 역할을 하기 전까지 개인투자자들의 대형주 선호 경향은 강해질 것이다.
다만,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실적이 뒷받침되는 중·소형주에 대한 쏠림현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가격제한폭 확대 조치를 통해 기업가치가 주가에 반영되는 속도가 빨라지면서 '일회성 호재'나 '테마'만 보고 투자하기에는 위험이 너무 높아졌다.
따라서 기관뿐만 아니라 개인도 실제 실적이 추정치와 괴리가 지나치게 벌어지거나 과거 주가 변동성이 높은 종목에 신중하게 접근할 가능성이 크다. 이에 따라중·소형주의 펀더멘털을 더 철저하게 분석하려는 경향도 강해질 것이다.
가격제한폭 확대 조치로 거래대금이 늘어나고 증권사들의 수익이 개선될 것이라는 기대감은 조금 성급하다는 판단이다.
위험 관리의 중요성이 커지고, 경쟁에 대한 각 사의 대응도 중요해진다.
개인투자자들의 거래 참여가 어떻게 바뀔지, 신용공여 배분 등 위험 관리 정책을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지, 주가연계증권(ELS)과 파생결합증권(DLS) 등 트레이딩(매매) 부문에 배분돼야 하는 자본을 얼마나 늘릴 것인지에 따라 증권사들의 손익이달라질 것이다.
(작성자: 박소연 한국투자증권 전략팀장, sypark@truefriend.com) ※위의 글은 해당 증권사 애널리스트의 개인 의견이며, 연합뉴스의 편집 방향과는 무관함을 알려 드립니다.
(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