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낙후한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한 대책을 내놓자 증시에서는 건설·부동산 등 관련 업종에 대한 이해득실을 따지며 수혜주를 찾기 위한 움직임이 분주하다.
하지만 시장 전문가들은 일단 지역경제 활성화 대책의 내용이 주식시장과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낮은 데다 건설·부동산 업체의 수혜도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어단기적인 수혜주를 찾기는 쉽지 않다고 지적하고 있다.
정부가 12일 발표한 대책은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이 해제된 이후에도 용도제한 등 규제로 개발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지역에 상업시설이나 공업지역이 들어설수 있게 하는 내용이 골자다.
또 개발촉진지구 등 5개 지역개발제도의 혜택을 합한 '투자선도지구'를 새로 만드는 등 기업의 지방 이전·투자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혁신도시와 기업도시 등 거점을 개발한다.
191개 전국 시·군은 56개 지역행복생활권으로 나누고, 서울을 제외한 15개 시·도는 특화발전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지역이 주도하는 맞춤형·패키지 지역발전정책을 짜겠다는 내용도 들어 있다.
이번 정책과 관련해 가장 먼저 수혜주로 부상하는 업종은 단연 건설·부동산 종목이다.
용도제한 등의 규제가 풀려 그린벨트 해제지역에 상업시설이나 공업시설이 들어서고 혁신도시나 기업도시 등 거점 개발이 본격 진행되면 무엇보다 지방 건설업체들이 가장 큰 수혜를 볼 것으로 전망된다.
지방 건설업체들은 최근 부동산 경기 침체와 실적 부진 등으로 줄도산이 이어지는 극한 상황에 내몰려 있기 때문에 지역 개발의 본격화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결코 작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다.
더구나 최근 일부 지역에서나마 회복의 기미를 보이는 부동산 시장에 이번 대책과 맞물려 선순환 효과가 나타나기만 한다면 바닥을 헤매는 지방 부동산 경기도 반등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란 기대도 나온다.
하지만 이번 대책의 효과가 제대로 발휘될지 아직은 의문인데다 많은 시간과 예산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큰 기대를 하기엔 시기상조란 분석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
이번 정부 대책이 낙후된 지역의 균형발전과 개발에 초점을 맞춘 것이어서 부동산 개발과는 다소 거리가 있을 수 있는데다, 지역 부동산 시장이 워낙 꽁꽁 얼어붙은 상황이어서 온기를 퍼트리기가 쉽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채상욱 LIG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번 대책이 긍정적인 방향인 것은 맞지만 이 덕분에 건설주들의 단기 실적이 호전될 것으로 생각하긴 어렵다"면서 "지역 건설사들은 올해도 계속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건설업종 외에도 개발 지역에 부동산을 보유한 기업이나 특화 발전 전략의 수혜를 보는 기업이 있을 것으로 보이지만, 현재 증시에서 이런 종목을 발굴해내긴 쉽지않은 상태다.
허재환 KDB대우증권 연구원은 "증시에선 수출기업과 전국 단위의 기업들의 비중이 갈수록 커지는 상황이어서 지역경제 발전으로 인한 수혜 종목을 찾기는 쉽지 않다"고 말했다.
hoonkim@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