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시 5개월 만에 자금유입 4분의 1 토막, 신규 가입자도 없어
뜨거운 관심 속에 출시된 재형저축펀드로 유입되는 자금이 5개월 만에 4분의 1토막이 났다.
비과세혜택을 받을 수 있는 해외주식과 채권형 펀드의 수익률이 나빠지자 투자자들이 펀드를 해지하는 등 열기가 급격히 식고 있다.
25일 펀드평가사 제로인에 따르면 7월 들어 재형저축펀드로 들어간 시중 자금은27억원 규모다.
지난 3월 6일 첫선을 보인 재형저축펀드에는 출시 첫 달 99억원의 자금이 몰렸다. 펀드 출시 5개월 만에 월별 자금 유입이 73% 감소했다.
자금 유입 규모는 4월 92억원, 5월 82억원, 6월 64억원으로 꾸준히 줄다가 7월에는 22일 현재 20억원대로 주저앉았다. 재형저축펀드는 보통 적립식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이번 달엔 신규 가입자가 거의 없는 셈이다.
이 펀드는 7년 이상을 유지해야 비과세혜택을 받는 장기투자 상품이지만 해지도속출하고 있다. 이번 달 8개 펀드에서 총 1억2천847만원이 빠져나갔다.
설정액이 1억원 미만인 펀드도 수두룩하다. 전체 68개 재형저축펀드 가운데 61.
8%(42개)가 설정액 1억원이 안 된다. 설정액 1천만원을 밑도는 '개점휴업' 펀드도 14개나 있다.
재형저축펀드 전체 설정액 360억원 중 47.5%(171억원)가 한국밸류자산운용이 내놓은 '한국밸류10년투자재형(채권혼합형)' 1개 펀드에 쏠려 있다.
증권사들은 출시 초기에 재형저축펀드를 대표적 절세상품으로 소개하며 가입 이벤트를 벌였지만 지금은 손을 놓고 있다.
한 대형 증권사 관계자는 "3∼4월 집중적으로 판매되다가 금세 열기가 식었다"면서 "최근에는 일주일에 4∼5명 가입하는 수준이고 지난주엔 단 한 명이 가입했다"고 말했다.
재형저축펀드가 외면받는 것은 펀드 이동이 금지되는 등 다른 장기펀드와 비교했을 때 두드러진 장점이 없기 때문이다.
재형저축펀드에 한 번 들어가면 일반 펀드에서 가능한 투자종목 교체, 분산투자비율 변경이 불가능하다. 다른 운용사로 펀드를 이동할 수도 없어 세제혜택을 받을수 있는 기간인 7년이 지나기 전까지 발이 묶이는 셈이다.
최근에는 증시 부진이 이어지면서 확정금리를 주는 은행 재형저축과 비교해 원금 손실이 날 수 있는 펀드에 대한 장기투자를 꺼리는 분위기도 확산됐다.
현재 전체 재형저축펀드 중 절반가량인 37개 펀드가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 중이다. 펀드 손실이 나면 재형저축펀드의 최대 장점인 비과세 혜택은 무용지물이나다름없다.
중국 주식에 투자하는 펀드의 손실이 크다. '삼성재형차이나본토자 1[주식]' 수익률이 -10.28%로 가장 나쁘고 '동양재형차이나본토주식자H호(주식)'과 '신한BNPP재형봉쥬르차이나오퍼튜니티자(H)[주식]' 수익률이 각각 -8.25%, -6.95%로 뒤를 이었다.
장춘하 우리투자증권 연구원은 "재형저축펀드는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채권이나 해외주식을 편입한 상품 위주인데, 관련 투자 경험이 부족하다면 다소 부담을느낄 수 있다"며 "최근에는 채권 손실도 발생해 유인책이 다소 떨어진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chopark@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