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5tg
device:MOBILE
close_button



코스피

2,479.81

  • 78.17
  • 3.06%
코스닥

672.83

  • 20.93
  • 3.02%
1/4

“산업용 전기가 가정용보다 비싸” 제조업 한전 불매 고려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산업용 전기가 가정용보다 비싸” 제조업 한전 불매 고려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산업용 전기가 가정용보다 비싸 제조업 한전 불매 고려
    국내 제조업 10곳 중 4곳은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에 따라 자가발전이나 전력 도매 시장에서 직접 구매하는 등의 방식으로 한국전력공사(이하 한전)가 판매하는 전기가 아닌 새로운 전력조달방식을 시도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공지능(AI) 산업 발전에 대응하기 위해 분산형 전원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는 의견도 10곳 중 7곳이 넘었다.

    4일 대한상공회의소(이하 대한상의)에 따르면 최근 국내 제조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전기요금과 전력시스템에 대한 기업의견’을 조사한 결과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으로 한전요금이 높아짐에 따라 자가발전소를 세우거나 전력도매시장에서 전기를 구매하는 등 상대적으로 더 저렴한 방안을 시도할 것인지’를 묻는 질문에 ‘그렇다’고 응답한 기업이 11.7%, ‘지금은 아니나 요금이 더 오른다면 할 것’으로 응답한 기업이 27.7%로 집계됐다.

    이는 산업용 전기요금의 지속적 인상으로 경우에 따라 자가발전소를 세우거나 전력도매시장에서 SMP(전력시장가격)로 전기를 구매하는 게 더 저렴한 상황이 됐기 때문이다.


    기업들의 '탈(脫)한전'이 본격화할 경우 한전의 입지가 좁아지고 그 영향이 전력산업 전반으로 파급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대한상의는 전기요금 인상추이를 보면 2000년 이후 2024년 12월까지 주택용 요금이 42% 오르는 동안 산업용 요금은 227% 인상됐다고 주장했다.

    산업용 요금은 성장의 원천인 기업의 역할을 고려해 주택용보다 낮게 책정되고 우리나라도 과거 산업용이 주택용보다 낮았지만 2000년 이후 총 24차례 인상에서 산업용 위주(19차례)로 올라 2023년에는 산업용 전기요금이 주택용 전기요금을 역전했다는 논리다.

    대한상의는 주요국을 살펴보면 산업용 요금은 주택용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편인데 반해 우리나라는 산업용 전기요금이 전체 용도별 요금 중에서 가장 높다고 지적했다.


    정유진 기자 jinjin@hankyung.com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