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시대 신흥강자들
팰런티어의 무기는 전투기와 탱크가 아니라 데이터다. 미국 국방성과 중앙정보국(CIA), 연방수사국(FBI) 등이 이 회사의 데이터 솔루션을 기반으로 전쟁이나 수사 전략을 마련한다. 팰런티어의 성공 사례는 방산 비즈니스의 중심이 하드웨어에서 인공지능(AI)과 데이터로 옮겨갔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준다. 미국 정부효율부(DOGE) 수장인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록히드마틴의 스텔스 전투기 F-35 전투기를 “바보들이 만드는 것”이라고 지적한 점도 비슷한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다.금융산업에선 달러와 1 대 1로 가치가 연동되는 스테이블 코인 업체 테더가 업계를 놀라게 했다. 직원 수가 채 200명도 되지 않는 이 작은 회사는 지난 3분기 25억달러의 순이익을 냈다. 직원 2만 명을 둔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16억3100만달러)을 뛰어넘는 수익성이다.
AI 혁명의 본진이라고 할 수 있는 빅테크 시장도 상황이 똑같다. 생성형 AI 시장의 ‘맹주’로 챗GPT 신드롬을 불러일으킨 오픈AI는 작은 연구 조직에서 출발한 기업이다. 2위를 달리고 있는 기업 역시 여전히 스타트업 신분인 앤스로픽이다. 벤처캐피털 멘로벤처스의 지난달 집계에 따르면 두 회사의 올해 기준 생성형 AI 시장 점유율은 각각 34%와 24%다. 전통의 빅테크인 메타(16%), 구글(12%)을 멀찌감치 따돌렸다. 검색 AI 시장의 강자 퍼플렉시티, AI 챗봇 업계 1위 캐릭터닷AI 등도 빅테크와 자웅을 겨루는 강소 스타트업으로 분류된다.
'기술의 민주화'시대 열렸다
다윗이 골리앗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게 된 것은 AI 혁명 때문이다. 수천, 수만 명의 직원이 해야 할 일을 AI가 대신해주기 시작하면서 스타트업이 손대지 못하는 영역이 하나둘씩 사라지는 모습이다. 실리콘밸리 영상 생성 AI 스타트업 오디세이의 마크 호크 창업자는 최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할리우드를 기술로 민주화하는 게 목표다. 몇 년 후엔 10명만 있어도 ‘반지의 제왕’ 같은 대작을 만들 수 있다”고 자신했다.최근 글로벌 경제를 살펴보면 ‘굿 뉴스’가 많지 않다. 환율은 널뛰고 소비는 잔뜩 위축돼 있다. 자유무역 시대도 끝나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무역장벽이 한층 더 높아졌다. 한국 스타트업의 상황은 더더욱 녹록지 않다. 벤처캐피털이 돈줄을 죄면서 자금 조달 자체가 쉽지 않다.
하지만 긍정적으로 볼 수 있는 대목도 분명히 있다. AI 기술 발달로 시장의 진입장벽이 낮아졌다는 점이 무엇보다도 고무적이다. 2025년 새해엔 신기술과 창의성을 앞세워 글로벌 대기업과 경쟁하는 K기업이 더 많이 등장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