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01.24

  • 20.61
  • 0.83%
코스닥

677.01

  • 3.66
  • 0.54%
1/3

[아르떼 칼럼] 무료 초대권은 없습니다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얼마 전 어느 연주자의 리사이틀을 관람하기 위해 서울 예술의전당을 찾았다. 2년간의 대장정이 될 그의 ‘모차르트 프로젝트’를 응원하고자 찾은 발걸음이었다. 하우스콘서트(하콘) 무대에서 들려준 연주와 그동안 나눈 대화의 결로만 보아도 그 깊이가 가늠되는 좋은 연주자라는 생각이 늘 떠나지 않았다. 이것은 아직도 우리가 모르는 좋은 연주자가 많다는 방증이기도 한 까닭에 미안한 마음마저 들곤 했다. 그 의미는 곧 팬덤이 있거나 대중에게 잘 알려진 연주자는 아니라는 뜻일 테다.

공연이 시작되기 10분 전, 객석에 착석한 나는 왠지 낯선 곳에 와 있는 듯한 기분을 느꼈다. 늘 제자와 가족, 친구들로 객석이 가득 차던 오늘의 이 공간은 소수의 관객만이 자리해 대략적인 수를 가늠할 수 있을 정도였다. 그때 머릿속을 스치는 생각은 단 하나였다. ‘초대하지 않았구나.’ 객석에 앉은 소수의 사람이 모두 유료 관객일 거라는 생각을 하니, 연주자의 그 단호한 결심이 너무나 고귀하게 느껴졌다. 나는 한 사람의 유료 관객으로서 내가 보낼 수 있는 가장 따뜻하고 힘찬 박수를 보냈다.

하우스콘서트도 무료 초대권이 없다. 지인들이 초대받아 오는 것이 아닌, 비록 소수일지라도 연주자의 음악을 듣고자 하는 ‘진짜’ 관객들과 함께했으면 하는 마음으로 시작한 일이었다. 그렇게 했을 때 객석의 집중도는 좋을 수밖에 없고, 연주자도 찾아준 관객에게 더 좋은 연주를 들려주고 싶은 마음이 든다. 그것이 음악의 완성도로 이어지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그러나 그 자연스럽고 건강한 연결고리가 초대권에 익숙해질 대로 익숙한 음악계에 안착하는 데까지는 적잖은 시간이 필요했다.

제일 먼저 봉착한 난관은 물론 관객이 적을 때다. 초대가 있었다면 가득 채울 수 있었겠지만, 원칙을 지키느라 10명도 채 되지 않는 관객을 놓고 공연해야 할 때도 있었다. 기획자로서 잠깐은 부끄러워지긴 했지만, 그것은 오히려 음악계의 현실을 더 정확하게 마주해야 하는 일이 됐다. 스타 연주자가 아니라면 객석을 채우기 어렵다는 현실 말이다.

이보다 더 어려운 건 연주자 본인이 초대를 원할 때였다. 초대를 당연하게 생각하고 요청하는 연락을 받을 때면 ‘죄송하지만 저흰 초대권이 없어서…’라고 운을 떼곤 했는데, 때때로 우리가 괜한 고집을 부리고 있는 건 아닌지 자괴감이 들기도 했다. 대체로는 ‘아, 그렇군요’ 하고 받아들였지만 가끔은 난색을 보이는 연주자도 있었다. 개런티도 뻔한 공연에 안 된다고 하니 팍팍하게 느꼈을 거라는 생각이 든다.

가끔은 해당 연주자의 지인이나 가족이 예약하지 않은 채로 현장에 온다. 그럴 때면 한두 번 겪어본 일이 아닌 스태프가 친절하게 웃으며 “예약자 명단에는 없네요. 입장료는 3만원입니다”라고 안내하는데 그에 대한 반응은 천차만별이다.

마지못해 입장료를 내는 사람, 입장료를 내기 싫어 집으로 되돌아가는 사람, 복도에서 듣겠다는 사람, 연주 직전의 연주자에게 전화를 거는 사람, 대기실로 직접 찾아가는 사람 등…. 다양한 형태로 입장료 3만원에 대처한다.

하우스콘서트 초창기부터 끈질기게 해온 초대권 없는 공연 만들기의 노력은 어느 정도 통한 것 같다. 하우스콘서트에 참여하는 연주자는 이제 여러 설명 하지 않아도 초대권 없는 공연에 기꺼이 동참해 주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길고 긴 과정에서 때론 타협도 해보고, 때론 고민하며 현재의 하우스콘서트를 만들었다. 앞으로는 더 많은 ‘진짜’ 관객으로 콘서트가 채워지기를 바란다.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