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11/AA.38589281.1.jpg)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취임 전부터 사용한 개인 휴대폰 번호를 바꾸기로 했다. 비공식 사적 통화를 줄여 명태균 씨 논란 같은 사태를 원천 차단하기 위한 조치다. 윤 대통령은 전날 기자회견에서 “저도, 제 처도 취임 후 휴대폰을 바꿨어야 했다”며 “문제의 원인은 제게 있다”고 말했다. 김 여사는 이달 예정된 윤 대통령의 외교 순방에 동행하지 않기로 했다. 사실상 올해 공개 활동을 중단하는 셈이다. 대통령실이 ‘김 여사 리스크’를 줄이기 위한 후속 조치에 속도를 내고 있다는 평가다.
○올해까지 김 여사 활동 중단
![](https://img.hankyung.com/photo/202411/AA.38590209.1.jpg)
김 여사는 연말까지 국내 활동도 하지 않을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여권 고위 관계자는 “중도층뿐 아니라 핵심 지지층에서도 김 여사 활동을 중단해야 한다는 요구가 강했는데 윤 대통령이 이를 전향적으로 수용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김 여사의 공식 활동을 보좌할 제2부속실에는 집무실을 두지 않기로 했다. 김 여사가 대통령실에 상시 출근하지 않겠다는 의미다.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 부부의 휴대폰과 번호를 교체하는 것뿐 아니라 사적 통화라도 부속실을 거쳐 통화하는 등 소통 방식을 바꿀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윤 대통령은 전날 기자회견에서 취임 후에도 개인 휴대폰을 계속 사용해온 것에 대해 “리스크도 있지만 (생생한 여론 청취 등) 장점도 있다고 판단했다”며 “앞으로는 리스크를 줄여나가고 국민이 걱정하고 속상해하는 일이 없도록 조치하겠다”고 약속했다.
○침묵 깬 韓 “尹 약속, 속도감 있게 실천”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에 “대통령께서 어제 현 상황에 대해 사과하고 인적 쇄신, 김 여사 활동 중단, 특별감찰관의 조건 없는 임명에 대해 국민에게 약속하셨다”며 “이제 중요한 것은 민심에 맞는 수준으로 구체적으로 속도감 있게 실천하는 것”이라고 적었다. 그러면서 당에 특별감찰관 임명 절차를 준비하라고 지시했다.전날 침묵한 한 대표가 이날 입장을 낸 건 불필요한 오해와 갈등의 소지를 줄이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한 중진 의원은 “한 대표 입장에서는 아쉬운 부분도 많겠지만, 전통적 지지층 중 대통령의 사과가 진솔했다고 보는 사람도 많기 때문에 또다시 각을 세우는 건 정치적으로도 부담이 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갤럽이 지난 5~7일 유권자 100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윤 대통령 지지율은 전주(19%)보다 2%포인트 낮은 17%를 기록했다. 취임 후 최저치다. 갤럽은 “조사 기간 사흘 중 마지막 날인 7일 오전 윤 대통령이 대국민담화·기자회견을 했는데 그 반향은 더 지켜봐야 알 수 있다”고 분석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변화와 쇄신을 시작했고 앞으로도 계속해 나갈 생각”이라며 “국민의 신뢰와 신임을 얻도록 치열하게 노력하겠다”고 했다.
양길성/정소람 기자 vertig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