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01.24

  • 20.61
  • 0.83%
코스닥

677.01

  • 3.66
  • 0.54%
1/3

"정상 체중인데 위험하다고요?"…놀라운 연구 결과 나왔다 [건강!톡]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비만이 아니더라도 유전적으로 예측한 것보다 살이 더 쪘다면 당뇨병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정상 체중이라도 개인의 유전적 비만도에 맞춰 체중관리 목표가 달라져야 한다는 것이다.

서울대병원은 곽수헌 내분비대사내과 교수와 이태민 강남센터 순환기내과 교수팀이 영국과 한국의 45만여명 코호트 결과를 분석해 이런 내용을 확인했다고 7일 발표했다.


성인 당뇨병으로 불리는 2형 당뇨병은 혈당을 조절하는 인슐린 분비능력이 떨어져 혈당이 높아지는 질환이다. 주요 위험인자는 비만이다. 비만도는 체중(㎏)을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눈 체질량지수(BMI)로 평가한다.

하지만 BMI는 인구집단별로 편차가 있어 BMI 만으로 당뇨 위험이 높은 비만도를 평가하는 데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있었다. 유럽인보다 동아시아인은 BMI가 낮은 저체중이라고 해도 2형 당뇨 환자가 비교적 많다.

연구팀은 DNA 전장유전체 데이터를 활용해 타고난 비만 수준에 대한 예측치인 '유전 BMI'를 산출했다. 유전 BMI와 실제 측정한 BMI 차이가 2형 당뇨병 위험과 연관이 있다는 가설을 세우고 영국 코호트(38만3160명)와 한국 코호트(7만4233명)를 분석했다.

그 결과 유전적으로 예측한 BMI보다 실제 BMI가 높을수록 2형 당뇨병 위험은 높아졌다. 반대로 유전 BMI보다 실제 BMI가 낮으면 당뇨 위험은 줄었다.

연구 대상을 실제 BMI가 높은 1분위 부터 유전 BMI가 높은 5분위까지 나눠 코호트별로 분석했더니 영국 코호트에서 1분위군은 5분위군보다 2형 당뇨 위험이 61% 커졌다.

한국 코호트에서 1분위군은 2형 당뇨병 위험이 3배 가량 증가했다. 여성은 당뇨 위험이 4배까지 높아져 연관성이 더 뚜렷했다.

연구팀이 한국 코호트만 별도로 분석했더니 유전 BMI보다 실제 BMI가 높을수록 인슐린 저항성이 높아졌다. 인슐린 저항성이 높으면 몸 속 세포가 혈당을 조절하는 인슐린에 잘 반응하지 않아 혈당이 쉽게 높아진다.

유전적으로 예측된 것보다 비만한 사람에게서 2형 당뇨병 발생 위험이 높아지는 것을 설명하는 하나의 기전이 될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BMI가 낮고 비만은 아니라고 해도 당뇨병을 예방하고 대사 건강을 유지하려면 유전적으로 예측된 비만도에 따라 개인에 맞게 체중 관리 전략을 세우는 게 좋다는 것이다.

곽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유전적으로 예측한 BMI와 실제 측정한 BMI 차이가 당뇨병 고위험군을 선별하는 지표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개별화된 체중 목표에 따라 생활습관을 관리하는 정밀의료 실현을 통해 당뇨병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당뇨병 분야의 국제학술지 '당뇨병 관리(Diabetes Care, IF;14.8)' 최신호에 실렸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