훌륭한 국가는 한두 세대에 걸쳐 이룩되지 않는다. 대한민국만은 예외다. 불과 두 세대, 60여 년 만에 모든 신흥국이 추앙하는 선진국 대열에 올랐다. 적어도 신세대에 ‘태어나 보니 선진국’이라는 말이 낯설지 않다. 세계 어디를 가도 당당하게 허리를 펴고 ‘코리안’임을 숨기지 않는다. 매년 수만 명이 유학을 가고, 3000만 명이 해외여행을 떠난다. 1980년대 사케와 스시에 매료된 외국인들은 이제 김치, 비빔밥, 삼겹살, 김밥을 찾는다. BTS 뒤를 이은 청년 아티스트들이 일본 돔투어를 완판시키고 미국 대형 공연장을 휘젓는다.
한국어를 배우고 연구하는 강습과 강의가 줄을 잇는다. 국내의 ‘영어 공용화’보다 해외에서의 ‘한국어 세계화’가 더 현실적이라는 얘기까지 나온다. 젊은이들이 파리 올림픽에서 목이 터져라 외친 ‘대~한민국’은 긍지와 자부심의 메아리가 돼 20년 이상 우리의 맥박을 고동치게 한다. 스포츠 경기에서나 기대하던 극일은 이제 경제와 산업 분야를 물들이고 있다. 한국의 1인당 국민소득은 지난해 처음으로 일본을 추월했다. 올해는 사상 최초로 수출이 일본을 넘어설 수도 있다.
세계에서 유례없는 기적의 역사를 일군 대한민국이 앞으로 가야 할 길은 자명하다. 신생 선진국을 넘어 초일류 선진국으로, G10(주요 10개국)이 아니라 G5로 가는 것이다. 인구 위기와 구조개혁 부진, 잠재성장률 추락과 지정학적 불안 같은 도전적 위협과 과제가 상존한다. 하지만 과거 세대는 일제강점기와 6·25 전란으로 폐허가 된 나라에서 맨주먹으로 일어서 오늘날의 번영을 일궜다. 그 시절과 비교하면 지금 우리의 출발선은 더할 나위 없이 훌륭하고 동원할 수 있는 자산도 풍부하다.
앞선 세대가 그랬던 것처럼 불가능을 가능으로 바꾸는 새로운 비전과 상상력이 필요하다. 나라와 국민은 지금보다 두 배는 더 잘 살아야 한다. 생산과 소득 수준을 확 끌어올려 국내총생산(GDP) 5000조원, 1인당 소득 7만달러 시대를 열어야 한다.
기존 성공 방정식은 한계에 부딪혔다. 국가의 운영 틀과 경제 체질, 국민 의식을 전면적으로 쇄신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인구 감소 재앙을 구조개혁과 새로운 성장 기회로 반전시키는 나라, 세계에서 가장 존경받는 시민국가, 어떤 진영도 흔들 수 없는 공급망 강국, 인공지능(AI)·모빌리티·로봇·우주항공 분야의 선도국가, 문화·예술 분야의 세계적 허브, 인류 삶의 질과 보편적 가치에 기여하는 국제사회의 리더가 새로운 지향점이다. 초일류 국가는 초일류 경제·문화·시민의 집합체여야 한다.
한국경제신문은 다음달 12일 창간 60주년을 앞두고 ‘대한민국, 초일류 선진국으로 가자’ 시리즈를 싣는다. 1964년 서울 태평로의 작고 소박한 창업이 어느새 한 갑자(甲子)를 돌았다.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 창달을 사시로 삼아 우리 국민이 절대 빈곤과 약소국의 숙명을 돌파해가는 장정을 매일 기록하고, 확인하고, 국민에게 알리는 긍지와 보람을 누렸다. 한결같이 변함없는 독자들의 성원과 격려 덕분이다. 우리나라가 안팎의 위기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며 세계 속에 우뚝 서는 위대한 여정도 국민·독자와 함께 걸어가고자 한다.
조일훈 논설실장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