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01.24

  • 20.61
  • 0.83%
코스닥

677.01

  • 3.66
  • 0.54%
1/3

[데스크 칼럼] 통째 이전 시급한 문래동 마치코바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서울 문래동에 공장이 들어서기 시작한 건 1930년대 일제 강점기부터다. 목화밭이 많던 이곳에 방적공장이 세워지면서다. 경성방직(경방), 방림방적이 그중 일부다. 문래동이라는 이름도 전통 방직기인 ‘물레’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유력하다. 문래동에 마치코바(町工場·영세 공장)로 불리는 철공소 중심의 기계·금속 생태계가 조성된 건 1960년대 들어서다. 공장의 부품 수요가 늘자 소규모 가공 공장이 몰려들었다. 1980년대 청계천 세운상가에서 철거된 소공인이 가세하면서 문래동은 비약적으로 발전한다. ‘지나다니는 개들도 만원짜리를 물고 다녔다’는 말이 나돌던 시절이다.
시한부 놓인 장인 암묵지
전성기는 지났지만 문래동의 기계·금속 가공 단지는 여전히 수도권 최대의 뿌리산업 집적지역이다. 소재, 금형, 주조, 소성가공, 열처리, 용접 등에 특화된 1200여 개 업체가 클러스터를 이루며 거의 완벽한 제조 생태계가 구축돼 있다. 어떤 부품이든 자전거나 오토바이에 실려 이 공장, 저 공장으로 옮겨가며 2~3일이면 뚝딱 만들어진다. ‘장인 10명이 모이면 탱크도 만든다’는 얘기는 과장이 아니다. 30~40년 이상 쇠를 깎은 관록이 말해주듯 “만들지 못하는 제품이 없다”고 자부하는 이들이다.

제조업의 실핏줄 역할을 하는 문래동의 암묵지가 지속될 수 있을지는 불투명하다. 개발 압력과 젠트리피케이션으로 기계·금속 단지의 생태계는 급속도로 깨지고 있다. 구역별 재개발 사업은 이미 진행 중이다. 최근 4~5년간 문을 연 카페와 술집 등은 260곳에 이른다. 그만큼 공장이 문을 닫았다는 얘기다. 임대료는 영세공장이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으로 치솟고 있다. 오버투어리즘마저 생겨나는 요즘 쇠를 깎는 기계음은 잦아들고 잔을 부딪치는 소리는 갈수록 커지고 있다.

1년 전에도 이 지면을 통해 이런 사정을 짚었지만 달라진 게 없다. 소매를 걷고 나서는 정부의 거버넌스가 보이지 않는다는 게 가장 큰 문제다. 영등포구는 기계·금속 단지 통이전을 위해 올해 초 ‘문래동 기계금속 집적지 이전 타당성 검토 용역안’을 끝냈지만 반년이 넘도록 단 한 곳의 정부 부처와도 협의한 적이 없다.
수수방관하는 정부
하루가 급한 소공인들은 지난 5월 산업통상자원부와 국토교통부를 방문해 건의서를 제출했으나 두 부처 모두 상대 부처의 업무라고 떠넘기는 웃지 못할 촌극이 벌어졌다. ‘고양이 목에 방울 달기’식 핑퐁 행정의 전형이다. 소공인의 주무 부처인 중소벤처기업부도 소극적이긴 마찬가지다. 물론 통이전은 만만치 않은 일이다. 1200여 소공인이 한 곳에 둥지를 틀려면 40만㎡의 부지가 필요하다. 흩어져선 생태계를 유지할 수 없다. 고도의 행정력과 정책당국의 의지가 뒤따라야 가능하다.

문래동은 국내에서 시제품과 소량 다품종 부품을 생산할 수 있는 유일한 곳이다. 대기업과 스타트업, 공대생도 시제품을 의뢰하러 이곳을 찾는다. 문래동이 사라지면 일본의 오타구나 중국 선전으로 가야 한다. 시간과 비용이 들 뿐 아니라 아이디어도 뺏길 공산이 크다. 결국 시제품을 못 만들면 신제품 개발은 어려워진다. 제조업에서 차지하는 정량적 비중이 작다고 방기해선 안 되는 곳이 문래동이다.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