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월 전공의 집단사직 이전에 비해 응급실(응급의료센터) 가동률이 떨어진 병원은 50.7%에 달한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다만 전국 응급실의 94%는 의료 공백에도 불구하고 응급실을 매일 운영하고 있었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은 10일 65곳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조사한 응급실 운영실태 결과를 발표했다. 응답 의료기관은 국립대 병원 7곳, 사립대병원 23곳, 지방의료원 14곳, 특수목적공공병원 10곳, 민간중소병원 7곳, 기타 4곳이다.
지난 4일부터 9일까지 실시된 설문에서 9월 현재 응급실(응급의료센터) 가동률이 지난 2월 전공의 집단사직 이전에 비해 떨어졌다고 응답한 곳은 모두 33곳(50.7%)이었다. 구체적으로 50% 이하로 떨어졌다고 응답한 곳이 10곳(15.3%), 51%~80% 수준으로 떨어진 곳이 20곳(30.7%), 81% 이상 가동되고 있는 곳은 3곳(4.6%)이었다. 큰 변화가 없다고 응답한 곳은 26곳(40.0%)이었고 되레 가동률이 더 높아졌다고 응답한 곳은 6곳(9.2%)이었다.
의사 사직 등으로 발생한 응급실(응급의료센터) 의료공백에 대해 ‘공백이 발생하고 있다’고 응답한 곳은 모두 42곳(64.6%)이었다.
이 중 ‘심각하게 발생하고 있다’는 응답은 18곳(27.7%), ‘약간 발생하고 있다’는 응답은 24곳(36.9%)이었다. 의료공백이 발생하지 않고 있다고 응답한 곳은 24곳(36.9%)으로 ‘발생하지 않는 편이다’가 4곳(6.1%), ‘전혀 발생하지 않고 있다’가 19곳(29.2%)이었다.
응급실(응급의료센터) 비상진료체계가 어떻게 가동되고 있는지 묻는 질문에 36곳(55.3%)이 ‘겨우겨우 버티고 있지만 불안하다’고 응답했다. 26곳(40.0%)이 ‘원활하게 정상적으로 가동되고 있다’고 응답했다. ‘무너지기 직전이고 더 오래 버틸 수 없는 지경이다’고 응답한 곳은 3곳(4.6%)이었다.
응급실(응급의료센터) 1일 운영시간을 묻는 질문에 ‘매일 운영한다’고 응답한 곳은 61곳(93.8%)이었고 ‘매일 운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응답한 곳은 4곳(6.1%)이었다. 응급실(응급의료센터) 1일 운영시간 축소 상황을 묻는 질문에 ‘축소 운영하지 않고 24시간 운영한다’는 응답이 61곳(93.8%), ‘16시간 이상~24시간 미만 운영한다’는 응답과 ‘8시간 이상~16시간 미만 운영한다’는 응답이 각각 2곳(3.0%)이었다.
9월 현재 응급의학과 의사수가 2월 전공의 집단사직 전에 비해 가장 많이 감소한 곳은 12명으로, 의사 18명 중 6명만 남아 있는 상태였다. 그다음 응급의학과 의사수가 줄어든 곳은 11명(2곳), 10명(3곳), 9명(1곳), 8명(2곳), 7명(6곳) 순이었다.
반면, 2월 전공의 집단사직 이후 9월 현재 응급의학과 및 응급실에 PA 간호사가 가장 많이 늘어난 곳은 13명이었고, 12명(1곳), 10명(1곳), 9명(1곳), 8명(1곳), 7명(3곳), 6명(6곳), 5명(7곳) 순이었다. PA 간호사 외 진료지원인력수가 가장 많이 늘어난 곳은 48명이었고, 35명, 25명, 20명, 13명 등이 뒤를 이었다.
보건의료노조는 "전공의 집단행동으로 인해 의료공백이 발생하고 있지만 94% 의료기관이 응급실을 축소 운영하지 않고 매일 가동 중"이라며 "응급실을 지키고 있는 전문의들과 늘어난 PA간호사·진료지원인력들이 응급실 의료공백을 메우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응급실을 박차고 나간 전공의들이 더 이상 파행을 방치하지 말고 국민생명을 살리기 위해 조속히 현장으로 돌아오라"고 촉구했다.
여야의정 협의체를 통해 2026학년도 의대 정원 증원에 대해 원점 재검토를 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반대 의사를 명확히 했다.
노조는 "수시 접수가 시작된 마당에 의대 증원 백지화는 엄청난 사회적 혼란과 수험생 피해를 초래할 뿐"이라며 "의사단체들의 의대 증원 백지화 주장에 동조하는 일부 정치권 인사들과 언론에 무책임하게 부화뇌동하지 말 것을 경고한다"고 밝혔다.
곽용희 기자 ky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