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08/AA.37838171.1.jpg)
디즈니플러스의 신작 ‘노 웨이 아웃: 더 룰렛’의 생명력은 놀랍게도 ‘상투성’이다. 이전의 온갖 작품들에서 모티프와 이야기 구조, 캐릭터를 가져왔다. 더 놀라운 것은 그런 모방의 상투성이 드라마를 더 재미있게 만들고 있다는 점이다. 작가 이수진의 영리한 짜깁기, 마치 이야기라는 기계에 있어 신형 이음새 부품을 새로 만들어낸 듯한 발명품 같은 느낌을 준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8/AA.37838173.1.jpg)
진부하지만 새롭다. ‘이건 결국 선이 이길 것이야, 아 참 선 따위는 없지, 그래도 나름대로 악을 응징해 나갈 거야. 아냐. 그냥 주인공이 살아남고, 가족이 안전해지며 게다가 주인공에게 돈도 생기게 될 거야’ 등등, 그런 안심의 마음을 준다. 그것이야말로 이 드라마의 동력이다.
기본적으로 ‘노 웨이 아웃: 더 룰렛’의 속내는 미국의 잔혹 공포극 ‘더 쏘우’에서 가져왔다. 여기에 ‘오징어 게임’을 얹혔지만 이건 순전히 극 중 ‘가면남’이 쓴 마스크의 이미지 때문이다. ‘오징어 게임’보다는 ‘더 에이트 쇼’에 더 가깝다. 좀 더 상세히 들여다보면 할리우드의 수많은 자경단(自警團) 영화, 예컨대 찰스 브론슨의 ‘데드 위시’ 같은 시리즈의 콘셉트를 본뜨고 있다. 사법당국에 기대지 않고 직접 범죄자를 처단하는 이야기들이다.
초반은 ‘인정사정 볼 것 없다’의 안성기-박중훈 추격전을 떠올리게 한다. 그만큼 드라마 전편에 각종 영화나 드라마의 레퍼런스가 넘쳐난다. 심지어 ‘노 웨이 아웃’이란 제목은 1986년 로저 도널드슨이 만든 케빈 코스트너, 숀 영 주연의 영화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8/AA.37838174.1.jpg)
두 남자가 죽기를 각오하고 싸우는 오프닝. 한 남자(현봉식)가 고기 써는 막칼로 또 한 남자 윤창재(이광수)의 귀를 자르려 한다. 친구 사이인 듯한 남자는 자꾸 “창재야 미안하다, 금방 끝난다”고 말하며 한쪽 귀를 잘라 낸다. 한편 이런저런 사기 사업에 돈을 탕진한 주인공 형사 백중식(조진웅)은 인생이 막장이다. 당장 이자 500만원을 갚지 못하면 딸의 첼로를 팔아야 할 판이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8/AA.37833587.1.jpg)
8부작 드라마의 모든 복잡한 문제는 바로 이 지점에서 시작한다. 형사가 돈을 ‘꿀꺽’하는 것, 부패 형사가 된 주인공의 사정이 이 영화의 모든 모티프를 제공한다. 주인공 형사가 돈 10억원을 보고 동공이 흔들리는 장면이 모든 것을 말한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8/AA.37833534.1.jpg)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8/AA.37826305.1.jpg)
오동진 영화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