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08/AA.37708863.4.jpg)
15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정부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연금개혁 정부안을 조만간 발표할 계획이다. 윤석열 대통령이 직접 이 내용을 발표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21대 국회에서 논의한 보험료율 및 소득대체율 조정은 진정한 의미의 연금개혁이라고 할 수 없고, 국민연금 고갈 시기도 고작 7~8년 늦출 뿐”이라며 “정부의 개혁안은 세대 간 형평성 확보와 국민연금 기금의 지속 가능성에 초점을 맞출 것이고, 이 방안에 따르면 연금 고갈 시기도 30년가량 늦출 수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세대 간 형평성을 위해 보험료율 인상 속도를 차등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국민연금 수령이 얼마 남지 않은 장년층은 보험료율을 빠르게 인상하고, 시간이 많이 남은 청년층은 상대적으로 천천히 올리는 식이다. 여권 관계자는 “예를 들어 보험료율(현행 9%)을 13%로 올린다고 한다면 장년층은 매년 1%포인트씩, 청년층은 0.5%포인트씩 인상하는 방식이 가능하다”며 “인상된 보험료율로 청년층이 더 오래 납부해야 하는데, 여기에 따른 상대적 박탈감을 낮출 수 있는 방안”이라고 설명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8/AA.37708907.1.jpg)
정부 관계자는 “책임지고 연금개혁을 이끌겠다는 의지에 따라 정부안을 검토 중”이라며 “정부안을 토대로 국회가 논의를 이어간다면 연금개혁을 완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도병욱/허세민 기자 dod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