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40.22

  • 38.98
  • 1.56%
코스닥

694.37

  • 17.36
  • 2.56%
1/3

[사설] 요직마다 공석인 우주청, 이래서 5대 강국으로 날겠나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대한민국을 ‘세계 5대 우주강국’으로 이끌 사명을 안고 지난 5월 출범한 우주항공청이 여전히 핵심 보직이 공석인 채로 제대로 이륙할 준비도 못 하고 있다. 야당의 반대 등 1년여의 우여곡절 끝에 개청한 우주청이기에 아쉬움이 더 크다. 우주항공임무본부장 산하의 4대 핵심 보직 중 우주수송·우주과학탐사·항공혁신부문장에 아직 적임자를 못 찾았거나 인선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한다. 각 부문장을 뒷받침할 프로그램장 역시 빈자리가 많다. 우주청을 민간 전문가 중심의 ‘한국판 NASA(미국 항공우주국)’로 만들겠다는 구상과 달리 낮은 연봉과 한반도의 최남단이라는 입지적인 불리함 탓에 외부 인재를 모셔 오는 게 사실상 ‘미션 임파서블’이 된 셈이다.

NASA 출신인 존 리가 맡은 임무본부장을 공모할 때 대통령과 동급인 2억5000만원의 연봉을 제시해 화제가 됐지만, 민간과 비교하면 결코 높다고 할 수 없는 대우다. NASA에 3억~4억원 연봉을 받는 연구원이 많다는 걸 감안하면 부문장 연봉 1억4000만원 역시 박봉에 가깝다. 그러다 보니 자리를 채운 프로그램장도 민간 기업 출신은 단 2명뿐이고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출신이 대부분이다. 현재 빈자리에 거론되는 인사들도 다르지 않다고 한다. 우주청이 산하기관인 항우연·천문연의 ‘사천 지사’가 된 게 아니냐는 말까지 나온다니 기대와 달라도 너무 다르다.

물론 이들 연구원 출신이라고 자격 미달이라는 말은 아니다. 누리호, 달 탐사선 다누리를 성공시키고 NASA와도 협력하는 역량 있는 기관들이다. 하지만 결국 ‘아랫돌 빼서 윗돌 괴기’다. 민간 전문가 중심의 조직을 만들려고 했던 건 기존의 관료적 틀에 얽매이지 않겠다는 뜻이 아니었나. 뉴 스페이스 시대를 열려면 다양한 분야의 인재를 수혈할 필요가 있다. 꼭 필요한 사람을 스카우트하기 위해선 연봉 제한도 과감히 풀어야 한다. 우주 강국들은 빛의 속도로 앞서가고 있고 우주청이 해내야 할 임무는 하나같이 난제들이다. 이제 두 달 조금 지났을 뿐이라고 여유 부릴 시간은 없다.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