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 현상으로 지난해 내국인 인구는 10만명 줄었지만 국내에 체류하는 외국인이 18만명 늘어나며 총인구가 3년 만에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인구 감소의 빈자리를 외국인이 채운 셈이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23년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총인구는 5177만5000명으로 전년보다 8만2000명(0.2%) 증가했다. 총인구는 2021년에 처음으로 감소(-0.2%)했고, 2022년(-0.1%)까지 2년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인구가 3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선 것은 외국인 영향이 컸다. 지난해 3개월 이상 국내에 체류했거나 체류할 목적으로 들어온 외국인 수는 전년 대비 18만3000명(10.4%) 늘어난 193만5000명이었다. 연도별로 인구 조사 방식이 바뀐 2015년 이후 최대 규모다. 총인구에서 외국인이 차지하는 비중도 3.7%로 1년 전(3.4%)보다 0.3% 포인트 증가했다. 반면 지난해 내국인 수는 4983만9000명으로 1년 새 10만1000명(-0.2%) 줄었다.
외국인 인구 증가는 정부의 외국인 고용허가제 확대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주요 생산 인구인 30대(54만1000명)와 20대(47만명), 40대(32만명)가 지난해 전체 외국인 인구의 68.6%를 차지했다. 국적별 증가율도 베트남(18.1%) 태국(16.8%) 중국(8.5%) 순으로 컸다. 상주 외국인은 중국(한국계)이 53만2000명(27.5%)으로 가장 많고 베트남(24만7000명·12.8%), 중국(22만1000명·11.4%)이 뒤를 이었다.
김서영 통계청 인구총조사과장은 "외국인 인구에 노동 인구가 많았다. 지난해 외국인력 고용을 대폭 확대한 고용허가제 도입으로 외국인 채용 규모가 많이 늘어난 결과로 보인다"고 밝혔다.
다만 외국인 인구가 국내 총인구의 추세적 증가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전영수 한양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한국의 저출생·고령화는 구조적 현상"이라며 "정부 정책 등에 따른 반짝 반등세가 잦아들면 다시 총인구가 감소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장지민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