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06/AA.37124977.1.jpg)
업계와 기사들이 갈등을 벌이는 건 내년도 레미콘 운송비 때문이다. 최근 5년간 레미콘 가격은 33.8% 올랐고 운송비는 56%(수도권 기준)나 상승했다. 업계에선 운송기사들의 무리한 요구가 갈수록 심해진다고 우려한다. 레미콘 운송비 협상은 권역별로 이뤄진다. 신호탄은 광주·전남에서 쏘아 올렸다. 협상 결렬 시 광주·전남 지역 기사들은 24일부터 총파업에 들어갈 예정이었지만, 회당 6만3000원인 운송비를 6000원 인상하는 데 합의했다.
문제는 수도권이다. 수도권 레미콘 공장은 전체 수요의 약 45%를 책임지고 있다. 수도권은 2022년 대규모 파업 당시 2년간 24.5% 인상안에 합의해 현재 회차당 운송비가 6만9700원(장거리 운송 사업자에게는 거리수당 추가)이다. 올해 재협상해야 하는데 아직 일정을 못 잡고 있다.
이런 가운데 전운련은 지난 22일 서울 여의도공원 앞에서 집회를 열어 “레미콘업체가 단체협상을 거부하고 파업을 유도하는 모습을 보이며 통합교섭을 파국으로 몰아가고 있다”고 주장했다. 협상 타결이 안 되면 다음달 총파업에 나서겠다고 으름장을 놨다.
하지만 최근 고용노동부 중앙노동위원회가 전운련의 노조 지위를 부정하는 판단을 내놓으면서 레미콘 기사들의 집단 운송 거부는 정당성 없는 행위라는 지적이 나온다. 당국은 레미콘 차주들이 △1억5000만원 상당의 자기 차량을 소유하고 △관할 세무서에 사업자등록을 했으며 △차량 번호판과 권리금, 마당비(권리금 형식 상조회비)를 수천만원에 거래하는 점을 고려해 레미콘 차주는 법원이 노조법상 근로자로 인정한 방송작가와 학습지 교사, 자동차 판매사원과는 다르다고 판단했다.
최형창 기자 calli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