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연초부터 고공 행진한 미국 증시가 최근 출렁거리며 횡보하자 손실을 일부 방어해주는 버퍼형 상장지수펀드(ETF)에 뭉칫돈이 몰리고 있다. 손실을 100% 보전해주는 버퍼형 ETF도 잇따라 출시됐다. 다만 상승폭에 제한이 있는 데다 수수료가 높다는 것은 단점으로 꼽힌다. 위험 회피에 무게를 둬야 하는 은퇴자 등에게 적합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5/AA.36667021.4.jpg)
9일 ETF닷컴에 따르면 버퍼형 ETF의 순자산은 지난달 말 기준 약 369억달러(약 50조5530억원)로 1년4개월여 만에 약 160억달러 증가했다. 미국 증시에 상장된 버퍼형 ETF는 161개에 이른다.
버퍼형 ETF는 횡보장이나 하락장에서 상대적으로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다. 손실 보전 비율을 10%로 가정할 때 기초지수가 10% 하락하면 원금이 보장되고 15% 떨어지면 5% 손실을 본다. 다만 최대 수익률이 제한돼 있어 상승장에서는 불리하다. 주요 버퍼형 ETF의 손익 범위는 약 15%다.
최근 고물가·고금리 장기화로 증시가 흔들리자 버퍼형 ETF는 시장보다 좋은 성과를 내고 있다. S&P500지수를 추종하는 ‘이노베이터 S&P500 파워 버퍼’(PJAN)는 변동성이 크던 최근 한 달간 0.44% 올랐다. 같은 기간 S&P500지수가 0.43% 내린 것과 대비된다. 현재 이 상품의 수익률 상한과 손실 보전 비율은 각각 14.23%, 15%다.
투자 손실을 100% 보전해주는 ETF가 연이어 출시되면서 상품 라인업이 다양해지고 있다. 지난 1일 상장된 ‘칼라모스 S&P500 구조화 방어 대체’(CPSM)는 만기인 내년 4월 30일까지 보유하면 원금을 100% 보장해준다. 대신 이 기간 수익률은 최대 9.65%로 제한된다. 지난해 7월 처음으로 손실 100% 보전 ETF ‘이노베이션 에쿼티 디파인드 프로텍션’(TJUL)이 상장된 뒤 이 같은 원금보장형 상품이 잇달아 나오고 있다.
미국 자산운용사 크레인셰어즈는 중국 정보기술(IT) 종목에 투자하는 버퍼형 ETF인 ‘크레인셰어즈 100% KWEB 디파인드 아웃컴’(KPRO)을 내놨다. 이 상품 투자자는 2년간 원금을 100% 보장받고 최대 22.69%까지 수익을 낼 수 있다. 최근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 수준)이 낮은 중국 증시에 투자하고 싶지만 위험을 피하고자 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하다는 평가다.
일반 ETF와 달리 만기가 있는 등 구조가 복잡하다는 점은 유의해야 한다. 버퍼형 ETF는 보통 1~2년 만기가 있고 이 기간에 보유해야 손실 보전 한도를 온전하게 챙길 수 있다. 매수 시기에 따라 수익률 상한과 손실 보전 비율이 달라진다.
높은 수수료도 단점으로 꼽힌다. 버퍼형 ETF의 총보수는 연 0.8% 수준으로 미국 대표지수형 ETF(0.09% 수준)보다 높다.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원금을 지켜야 하는 은퇴자나 변동성 장세에서 위험을 회피하고자 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하다”고 말했다.
맹진규 기자 mae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