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지 4월 29일자 A1, 5면 참조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4/AA.36563139.1.jpg)
같은 기간 전체 대출 규모가 345조4000억원에서 346조2000억원으로 8000억원가량 증가한 것을 감안하면 전례 없이 가파른 속도로 연체액이 불어났다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실제 단위농협 연체율은 작년 말 2.74%에서 지난달 3.64%로 뛰었다. 2022년 말 연체율은 1.21%에 불과했다.
올해 들어 연체율이 가장 많이 상승한 곳은 신용협동조합이었다. 신협의 연체율은 작년 말 3.63%에서 지난 2월까지 두 달 새 1.39%포인트 뛰어 5%를 넘어섰다. 수협과 산림조합도 같은 기간 연체율이 0.8%포인트 오르며 각각 4.96%, 4.26%를 기록했다. 농·축협은 3.37% 수준이었다.
회수가 불투명한 대출로 분류되는 고정이하여신(NPL)비율도 2022년 말 1.63%에서 지난달 말 3.77%로 확대됐다. 농협중앙회 관계자는 “부동산 시장 불확실성과 고금리 장기화 등의 영향”이라고 말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4/AA.36564017.1.jpg)
전국 단위 농협에서 발생한 고정이하여신(작년 말 기준)은 금융당국이 관련 통계를 공개한 2011년 이후 최대 규모(10조7754억원)로 불어났다. 1년 새 95.1% 폭증했다.
농협중앙회는 전사적 부실채권 감축 작업에 들어갔다. 이를 위해 우선 이달 ‘연체 채권 현장 지원 TF’를 꾸렸다. 연체 감축을 위한 법률, 감정 평가를 지원하는 팀이다. 전국 4개 권역에 ‘연체 채권 119 현장지원단’을 신설해 가동하는 방안도 추진 중이다.
농협중앙회 관계자는 “체계적인 연체 및 부실채권 관리를 위해 농·축협 공동대출에 대한 중앙회 차원의 사전검토제도 도입을 계획하고 있다”며 “다음달 희망 농·축협에 시범 운영한 뒤 적용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했다.
박재원 기자 wonderfu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