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04/AA.36403960.1.jpg)
하지만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 보면 이런 혁명적인 시기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인류는 늘 거대한 변혁을 거치며 살아왔고 그 과정을 통해 번영해왔다. 그래서 역사는 오늘날을 살아가는 데 가장 쓸모있는 도구가 돼준다.
인도계 미국인으로 외교정책전문가면서 CNN 간판 시사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파리드 자카리아는 <혁명의 시대(Age of Revolutions)>라는 책을 통해 기존의 질서와 규범을 뒤흔든 ‘세 번의 혁명 시대’를 조망한다. 인류 역사의 전환기를 되짚어보며, 과거에서 교훈을 찾아 미래를 구하려는 노력을 포기하지 않는다. “위기에 처한 것은 현대성 그 자체이다”라며 자유민주주의 질서를 흔드는 도전에 대해 당당히 맞설 것을 주문한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4/AA.36405971.1.jpg)
책에 소개된 첫 번째 혁명은 ‘자유 혁명’으로 17세기 네덜란드에서 일어났다. 17세기 네덜란드 공화국의 성공 비결은 여러 도시와 항구의 힘을 모아 강력한 방어 체계를 구축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네덜란드 사람들은 절대주의 군주제를 거부한 자유 무역의 옹호자였다. 그래서 그 척박한 땅에서 광활한 토지 개간이 시작될 수 있었다.
자카리아가 꼽은 두 번째 혁명은 ‘프랑스 혁명’이다. 오늘날까지 우리를 괴롭히는 이데올로기 대립과 피의 유산을 남긴 폭발적인 시대가 바로 프랑스 혁명이었다. 지금까지도 그 유산은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인류 역사에서 중요한 세 번째 혁명은 ‘모든 혁명의 어머니’라고 불리는 ‘산업혁명’이다. 이 혁명으로 인해 영국과 미국 주도의 세계 질서가 확립됐고, 현대 세계가 만들어졌다.
“전 세계적으로 1억 명의 사람들이 페이스북을 사용하는 데 4년이 걸렸다면, 인스타그램은 2년 만에 같은 숫자의 사용자를 확보했다. 그리고 챗지피티(ChatGPT)를 1억 명이 사용하는 데 걸린 시간은 단 2개월뿐이다.” 자카리아는 오늘날 벌어지고 있는 또 다른 거대한 혁명을 진단한다.
‘세계화’ ‘기술’ ‘정체성’ 그리고 ‘지정학’이라는 도구를 가지고 과거 어떤 혁명보다 오늘날 진행되고 있는 혁명이 얼마나 더 위협적일 수 있는지 경고한다. 오늘날의 혁명으로 인류가 얻은 혜택을 무시할 수 없지만, 지금 우리는 그로 인한 심각한 혼란과 정체성의 위기를 경험하고 있다. 세계 질서가 흔들리고 자유민주주의의 근간이 위협받고 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4/AA.23547848.1.jpg)
홍순철 BC에이전시 대표·북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