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적으로 '보수의 집토끼'로 분류되던 60대 이상 실버층 사이에 균열이 생기고 있다. 진보 성향이 강한 1980년대 학생운동을 주도하던 '386'이 시간이 흘러 60대까지 편입되면서다. 전체 60대 이상 선거인 3명 가운데 1명은 386인 것으로 나타났다.
7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22대 국회의원 총선거의 선거인 수는 4425만명이다. 이 가운데 60세 이상은 1411만명으로, 31.9%를 차지한다. 이들 60세 이상 유권자 가운데 1960년대생은 422만명에 달한다. 60세 이상 노년층 유권자의 29.9%가 1960년대생인 것이다.
지금까지 60세 이상 노인층은 보수 정당의 핵심 지지층이었다. 또 투표율도 높다. 21대 총선에서 60대는 80.0%, 70대는 78.5%가 투표에 참여했다. 이렇다 보니 진보 진영에선 노인층의 투표를 견제하는 분위기도 상당했다. 2004년 17대 총선 때는 당시 열린우리당 정동영 의장이 "60·70대는 투표 안 해도 괜찮다. 집에서 쉬셔도 된다"고 말해 논란이 됐다. 그만큼 노인층의 투표가 진보 진영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인식이 팽배했다는 의미다.
하지만 상황이 달라졌다. 민주화 세대인 1960대생의 일부가 60대로 들어서면서다. 실제 60대와 70대 이상의 정치적 판단의 괴리가 커지고 있다. 한국갤럽의 지난달 22일 여론조사에 따르면 윤석열 대통령의 직무수행 평가와 관련, 70대 이상에서는 '잘하고 있다'가 70%, '잘못하고 있다'가 26%였다. 60대에서는 '잘하고 있다'가 46%, '잘못하고 있다'가 47%였다.
이런 변화를 감안해 선거 여론조사 방식도 지난해 12월부터 바뀌었다.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여심위)는 여론조사의 피조사자 선정·결과 분석에서 60대와 70세 이상을 구분하도록 했다. 지금까지는 60세 이상으로만 조사했던 것과 다른 것이다. 선거인 가운데 60세 이상은 31.9%인데, 10%대인 다른 연령층과 비교하면 비중이 크다. 60대와 70대의 민심이 크게 차이가 나는 것도 여론조사 방식을 바꾼 요인으로 꼽힌다. 당시 여심위는 "분리 조사를 의무화해 선거 여론조사 결과의 신뢰성을 제고하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