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단법인 미래탄소중립포럼은 지난달 28일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탄소중립도시를 위한 건축·도시계획’ 세미나를 열고 인천지역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방안 등을 논의했다고 1일 밝혔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4/01.36296001.1.jpg)
김정곤 베타랩 도시환경연구소장이 이날 ‘탄소중립도시 현황과 미래’에 대해 설명했다. 온난화 문제해결을 위해 유럽 선진국의 정책 방향과 테스트베드 사례, 분야별 적용방안을 소개한 데 이어 탄소중립도시 전략으로 에너지 전환과 에너지 공간 계획을 제시했다.
이은엽 LH(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연구단장이 제2 주제로 ‘탄소중립을 위한 도시계획방안’에 대해 강의했다. 이 단장은 도시계획 관점에서 탄소중립을 위한 도시기본계획 등 상위계획 반영과 탄소배출 최소화를 위한 토지이용계획을 구체화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명주 명지대학교 교수는 ‘건축물 중심의 탄소중립도시’란 제3주제 발표를 통해 건축 및 도시의 탄소 배출량은 전체 40%로 에너지와 산업 다음으로 많다고 했다. 이 교수는 "탄소중립을 위해 건축물 관리가 중요하다"며, "건축물 중심의 탄소중립도시를 위한 로드맵과 방향, 제로에너지 도시 개념과 정책적 개선방안으로 도시 내 부문별 정확한 탄소 배출량 예측과 로드맵 수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승우 미래탄소중립포럼 상임대표가 좌장으로 한 토론회에서는 서울대 송재민 교수, 유영석 인천상공회의소 실장, 이인제 인천연구원 박사, 운세형 iH인천도시공사 소장, 윤영호 한국주거학회 원장이 패널로 참석해 건축물의 탄소배출 저감을 위한 실질적인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4/01.36296005.1.jpg)
송재민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탄소중립도시 계획 및 사업 이행을 위해선 탄소 전 과정 관리가 중요하다”며 “온실가스 저감 및 저장과 관련한 다양한 정책 수단의 기술, 정책 및 경제적 타당성과 효과에 대한 깊이 있는 고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윤영호 한국주거학회 주거연구원장은 “탄소중립도시 실현을 위해 공간과 사람, 사람과기술, 공간과 기술의 통합 등 협력적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탄소중립도시에서 제로에너지를 위한 신재생에너지 전환정책에 국민들의 동참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정부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했다.
유오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