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34.34

  • 33.10
  • 1.32%
코스닥

696.83

  • 19.82
  • 2.93%
1/3

"중국 싫다" 우려가 현실 됐는데…한국은 예상 뒤엎고 '반전'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지난 26일 VIP 개막을 시작으로 30일까지 이어진 ‘아트바젤 홍콩 2024’. 전 세계 40개 국가에서 242개 갤러리가 참가한 올해 행사는 ‘아시아 최대 미술장터’라는 명성과는 달리 ‘끝까지 볼 게 없었다’는 평가를 받으며 막을 내렸다.

관람객 수 또한 평균 이하였다. 5일간 이어진 미술 장터에는 7만5000명의 손님들이 모였다. 기존 아트바젤 홍콩의 평균 관객 수(8만명)에 못 미쳤다. 홍콩 당국은 페어의 실패에 놀란 눈치다. 개막 일주일 전부터 ’메가 이벤트’를 홍콩 안으로 끌어오며 글로벌 미술계 인사들과 관객들을 모셔왔기 때문이다. 올해 아트바젤 홍콩을 3가지 키워드로 분석했다.
키워드 1. 차이나 포비아


아트바젤 홍콩이 ‘기대 이하’라는 평가를 받고 끝난 데에는 심화된 '차이나 포비아'가 가장 큰 요인으로 꼽힌다. 프랑스 갤러리 마리안굿맨, 미국의 션 켈리 등 미주와 유럽권 대형 갤러리들이 '중국의 검열 리스크'를 우려해 발을 뺐다. 이들이 나오지 않자 자연스레 수백억원대의 작품도 페어에 나오지 않았다. ‘페어에 볼 것 마저 없었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관객들에게도 '차이나 리스크'는 컸다. 특히 아트바젤 홍콩 개막을 3일 앞둔 지난 23일 '홍콩판 국가보안법'이 시행되며 각국 여행자들에게도 '주의하라'는 경고가 내려졌다. 바젤을 위해 홍콩에 입국하려던 서양의 '슈퍼 리치'들이 직전에 참여를 포기하는 경우도 생겼다.

실제 현장에서 만난 한 미국 갤러리스트는 “올해는 당초 출품작을 상의할 때부터 중국 당국의 심기를 거스르지 않기 위해 ‘자기 검열’을 했다”며 “중국에 대한 반감 때문에 해외 관객도 적어져 내년 행사 참가를 고민하고 있다”고 했다.
키워드 2. 선명한 양극화
‘미적지근한 페어’라는 평가에도 이번 홍콩에서 두드러진 성과를 보인 갤러리들은 존재한다. 하우저앤워스, 페이스갤러리, 데이비드즈워너 등이 대표적이다. 이 갤러리들이 가진 공통점은 모두 비싸지만 가치가 있는 ‘똘똘한 작품’들만 골라 들고 나왔다는 것이다.


하우저앤워스 갤러리는 900만달러(약 120억4000만원)에 달하는 윌렘 드 쿠닝의 작품을 팔며 첫날 최고가 판매에 등극했다. 필립 거스틴의 850만달러(약 114억7900만원)짜리 작품도 넘겼다. 거스틴의 작품은 수요가 넘친 나머지 하우저앤워스는 오픈 첫날 오후 11시까지 '누구에게 넘겨야 하나'라는 행복한 고민을 하기도 했다.



하지만 '애매한 작품'을 들고 나온 갤러리들은 이번 페어에서 쓴맛을 봐야 했다. 작가 이름값에 비해 작품의 평가가 떨어지는 경우는 실적이 더욱 좋지 않았다. 한 관객은 ”거장 쿠사마 야요이의 작품이 여러 부스에 나온 게 보이지 않나”며 “같은 작가의 작품이더라도 상대적으로 투자 가치가 떨어져 보이는 작품은 싸도 안 팔리기 마련"이라고 말했다.

현장에서 만난 국내 갤러리 대표는 “불경기에 오히려 고가작이 잘 팔린다”며 “예술시장 전망이 불안하니 확실한 투자 가치가 있는 작품에만 고객들이 지갑을 열고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슈퍼 리치’들은 경기에 상관없이 가치가 높은 작품들만을 구매하기 때문에 고가작에 수요가 쏠린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즉 ‘애매한 작품’에 선뜻 구매 의사를 밝힐 만한 매력을 느끼지 못한다는 것이다.
키워드 3. 'K아트'의 가능성
이번 아트바젤 홍콩에서도 국내 작가들의 인기는 두드러졌다. 특히 조현화랑에서 내놓은 이배의 조각과 회화를 포함한 세 점은 사전 판매만으로 한 인도 컬렉터에게 모두 팔렸다. 학고재가 가지고 나온 정영주의 작품 두 점도 오픈과 동시에 완판됐다. 학고재 우찬규 회장은 “지난해 홍콩에서도 가지고 나온 정영주 작품을 오픈일에 모두 넘겼다”며 “올해 해외 시장에서 정영주가 가진 파워를 다시 한 번 실감했다”고 말했다.

‘한국 작가 파워’를 가장 잘 보여준 곳은 국제갤러리다. 국제갤러리는 사전 판매와 VIP 오픈일에 김윤신의 작품 네 점, 이희준의 작품 네 점을 포함해 강서경과 이기봉 등 한국 유명 작가들의 작품을 모두 넘겼다.



특히 엄선된 작가들의 설치작을 선보이는 아트바젤 홍콩 인카운터스 섹션에 나온 양혜규의 작품까지 7만 유로(한화 약 1억원)에 팔며 주목을 받았다. 이 작품은 대형 설치작임에도 불구하고 곧바로 주인을 찾아갔다. 아트바젤 홍콩 기간 중인 27일 서울 강남에서 이뤄졌던 서울옥션 경매에서도 한국 작가에 대한 관심이 증명됐다. 당초 '쉽게 팔리기 힘들 것'이란 예상을 깨고 김환기의 전면점화도 50억원에 새 주인을 찾으면서다.

아트바젤 홍콩 기간동안 보인 한국 작가들의 약진에 세계 미술계의 눈은 서울을 향하고 있다. 국내 작가들에 대한 관심이 오는 9월 코엑스에서 개최될 한국국제아트페어(KIAF)-프리즈 서울의 성과로 이어질지다. 한 갤러리스트는 “서울 예술시장의 경기가 중화권에 비해 좋은데다 작가들과 갤러리의 역량도 뛰어나다”며 “중국 리스크도 없기 때문에 좋은 작품만 가져온다면 충분히 홍콩을 뛰어넘을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홍콩=최지희 기자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