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03/01.36235858.1.png)
서울 노원·도봉·강북구 등 동북권은 1980년대 후반~1990년대 초반 지어진 '베드타운'이다. 서울에 지어진 지 30년 넘은 노후 주택 절반이 이 곳에 집중됐다. 기업이 모이는 업무·상업시설은 동북권 일대를 다 합쳐도 서울 광화문 도심의 절반에 못 미친다. 500조원에 가까운 서울 지역내총생산(GRDP)에서 동북권이 차지하는 비중은 50조원에 그칠 정도로 소외됐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같은 문제를 풀기 위해 26일 '강북권 대개조' 구상을 발표했다. 지난달 발표한 서남권 대개조 구상에 이어 두 번째다. 강북권 대개조는 동북권(강북·광진·노원·도봉·동대문 등 8개 자치구)과 서북권(마포·서대문·은평)이 대상이다.
강북권 대개조의 핵심은 규제 완화로 기업이 입주하는 초고층 오피스를 짓도록 유도하고, 파격적인 인센티브 부여로 이 일대 재건축을 촉진하겠다는 것이다. 서울시는 서울 내 역세권 아파트에 용적률 최대치의 1.2배까지 추가로 부여한다. 이미 높게 지어져 재건축이 어렵다는 판단을 받는 이 일대 아파트 재건축에 숨통을 틔워주겠다는 취지다. 역세권 아파트는 제3종주거(용적률 최대 300%)에서 준주거(500%)로 종상향해 사업성을 대폭 개선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65개 단지, 4만2000여 가구가 재건축에 착수할 수 있게 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기업을 유치하기 위해 초고층 업무지구를 조성하는 방안도 담겼다. 용적률을 1000%까지 부여할 수 있는 상업지역 총량제를 풀어 기업이 입주할 수 있는 오피스를 짓도록 유도하겠다는 구상이다. 이를 통해 기업이 활동하는 상업지역의 규모를 강남권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걸 목표로 잡았다. 개발에 추가 인센티브를 제공하기 위해 민간사업자가 개발지의 규모와 용도를 정할 수 있는 균형발전 사전협상제(화이트사이트)를 도입한다. 화이트사이트 대상지로 차량기지 등 대규모 유휴부지를 지정해 상업지역으로 종상향하고 공공기여도 10%포인트 줄여줄 계획이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3/01.36235864.1.png)
노원 일대 65개 단지, 4만2000가구 재건축 길 열린다
1990년대 준공된 강북권 아파트는 재건축이 불가능할 정도로 높고 빽빽하게 지어졌다. 당시 주택건설촉진법으로 주거지에 대한 용적률이 지금 같은 임대주택이나 기부채납 없이 최대 400%까지 부여됐기 때문이다. 2000년대 초반 주거지에 대한 세분화 작업을 거쳐 이 일대 아파트가 속한 제3종 주거지의 용적률 최대치는 300%로 대폭 낮아졌다. 강북권 일대 아파트 65개 단지, 4만2000여 가구의 재건축이 불가능한 이유다.이 일대 아파트에 용적률 최대치의 1.2배(360%)까지 부여해 재건축에 숨통을 틔워주겠다는 게 강북권 대개조 주거대책의 핵심이다. 65개 단지의 용적률은 250% 이상으로, 용적률 최대치가 360%까지 주어지면 100%포인트 이상의 여유가 생기게 된다.
특히 역세권에선 역세권 활성화 사업이 아니라 일반 재건축을 추진할 때도 준주거지역 종상향하고, 공공기여율을 15%에서 10%로 낮추는 파격적인 인센티브가 제공된다. 용적률 최대치가 300%에서 500%로 대폭 상향된다는 설명이다. 이같은 혜택은 서울 전역에 적용되지만 수혜지는 강북권에 몰려있다는 게 서울시 분석이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3/01.36235865.1.png)
북한산 밑이라는 이유로 고도제한이 걸린 지역에 대한 정비사업도 추진한다. 서울시 정비사업 모델인 모아타운을 추진할 때 자연경관지구는 기존 3층에서 약 7층(20m)으로, 고도지구는 20m에서 최대 45m로 풀어 사업성을 높여주는 방안이다.
재개발 대상지도 286만㎡에서 800만㎡로 지금보다 3배 가까이 확대된다. 지난 1월말 시행된 도시정비법 시행령으로 노후도 기준이 67%에서 60%로 완화되면서다. 접도율 기준도 4m 도로에서 6~8m로 완화된다. 폭 6m 미만 소방도로를 확보하지 못한 노후 주거지도 재개발 대상에 포함된다.
재건축 인허가 기간도 기존의 일반 재건축보다 5~6년 앞당긴 신속통합기획을 활용하면서 정비계획 입안을 동시 진행해 1년을 더 단축한다. 재건축 시작부터 준공까지 7~8년 안에 진행하겠다는 계획이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3/01.36235859.1.png)
용적률 1000%까지 부여…초고층 업무지구 추진
강북권 대개조 프로젝트를 통해 기업들은 강북권에 초고층 오피스를 사실상 제한 없이 지을 수 있게 된다. 상업지역 총량제는 2030년까지 서울시가 권역별로 상업지역 총량을 배정하고 그 안에서 상업지역을 지정하는 제도다. 서울시는 시 전역에서 상업지역 총량제를 풀 계획이다.상업지역 총량제가 풀리면 용적률을 1200%까지 부여해 초고층 오피스를 지을 수 있는 상업지역을 무제한으로 지정할 수 있게 된다. 11개 자치구를 포괄하는 강북권은 상업지역 면적이 519만㎡로 도심권(814만㎡)이나 동남권(627만㎡)에 턱없이 못 미치는 점을 고려한 조치다.
지금도 자치구가 상업지역을 추가 지정할 수 있지만 100% 쓰이지 못하고 있다는 게 문제다. 특정 지역에만 초고층 오피스를 허용해 혜택을 준다는 지적이 나올 것을 우려하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시가 상업지역을 대거 풀어도 강북권에 기업이 밀집한 업무·상업지구가 조성되기 어렵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3/01.36235866.1.png)
서울시는 강북권 대규모 유휴부지에 '균형발전 사전협상제(화이트사이트)'를 도입해 상업지역을 적극 부여할 계획이다. 화이트사이트는 사업시행자가 기존 도시계획으로 개발이 어려운 지역을 사업시행자가 원하는 규모와 용도로 개발하는 것을 허용하는 제도다. 화이트사이트에서 용적률은 일반상업지역 법적상한용적률(800%)의 1.2배까지 주어지고, 공공기여율 상한선이 60%에서 50%로 완화된다.
서울시는 대표적인 화이트사이트 적용대상지로는 창동차량기지와 도봉면허시험장(25만㎡), NH농협부지(3만㎡)를 꼽았다. 이 부지와 동쪽으로 인접한 NH농협부지는 주거지와 쇼핑몰이 들어서게 될 전망이다. 청량리 차량기지 일대(35만㎡)와 이문차량기지(21만㎡), 신내차량기지(34만㎡) 등 다른 차량기지에도 적용된다. 서울혁신파크는 미디어컨텐츠와 연구개발(R&D) 중심의 서울창조타운으로 재조성할 계획이다.
화이트사이트 적용대상지는 상반기 검토를 거쳐 이르면 7월 적용할 예정이다.
박진우 기자 jw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