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03/AA.36194869.1.jpg)
4분기 중 정리된 부실채권은 4조7000억원어치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4분기 말 기준 부실채권 잔액은 12조5000억원으로 전분기 말보다 1조원 증가했다. 이는 2021년 3월 말 13조8000억원 이후 최대치다.
부실채권 잔액 가운데 기업여신이 10조원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어 가계여신(2조3000억원), 신용카드 채권(2000억원) 순이었다.
전체 여신에서 부실채권이 차지하는 비율은 전분기 말(0.44%)보다 0.03%포인트, 전년 말(0.40%)보다 0.07%포인트 올라갔다. 부실채권 잔액과 비율은 2022년 4분기부터 5개 분기 연속 커졌다. 기업여신의 부실채권비율(0.59%)은 전 분기 말(0.53%) 대비 0.05%포인트 상승했다.
작년 말 대손충당금 잔액(26조5000억원)은 전분기 말 대비 1조8000억원 증가했다. 이에 따른 총대손충당금 잔액을 부실채권으로 나눈 대손충당금 적립률도 대다수 은행에서 상승했다. 은행권 전체로는 수출입은행 등 특수은행 영향으로 전분기 말 215.3%에서 212.2%로 하락했다.
금감원은 “은행의 부실채권비율이 여전히 코로나19 이전(2019년 말 0.77%) 대비 크게 낮은 수준이고, 대손 충당금 적립률도 예년 대비 높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강현우 기자 h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