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34.34

  • 33.10
  • 1.32%
코스닥

696.83

  • 19.82
  • 2.93%
1/3

"여기 아니면 갈 곳도 없어요"…7080 수백명 몰렸다 [현장+]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어제 왔는데 오늘 또 왔다니까. 다른 데 갈 곳도 없어."

종로구 낙원상가 4층 허리우드극장(허리우드클래식) 매표소 앞에서 만난 70대 박모 씨는 "오후 2시 30분에 시작하는 영화 '캐나다평원'을 관람하러 왔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고전 영화를 좋아한다는 박 씨는 거주지인 혜화동에서 이곳을 매일 오가며 영화를 관람하거나, 친구들과 담소를 나눈다. 그는 "젊었을 때는 출근할 곳이 있었는데, 이젠 그렇지 않으니 여기로 출근한다. 집에서 가만히 있는 것보다는 훨씬 좋다"고 말했다.


1월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70대 이상 인구수는 631만9402명으로 619만7386명인 20대의 인구보다 많다. 70대 이상 인구가 20대 인구를 앞지른 것은 주민등록 인구통계 집계 이래 처음이다. 이대로라면 우리나라는 내년에 고령인구 비중이 20%를 넘게 돼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전망이다.

초고령화 사회가 도래하면서, 일명 '건강한 노인'이 여가 생활을 보낼 곳이 부족하다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그간 각종 노인 복지 정책이 의료·요양 등 환자 중심으로 설계돼 정작 건강하게 나이 든 노인들은 갈 곳이 없다는 지적이다.

일례로 지난해 7월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노인복지시설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2년 기준 국내 노인복지관은 366곳이다. 반면 노인요양시설은 4057곳에 이른다.

각 지자체가 '어르신 놀이터' 육성에 힘쓰는 가운데, 종로구의 한 민간 극장이 모범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서울 종로구 낙원동 낙원빌딩 4층 허리우드극장이다.


18일 오후 허리우드극장 휴게공간은 오래된 팝송이 울려 퍼지고, 공연과 영화를 기다리는 손님들로 북적이는 모습이었다. 영화 시작 시간이 되자 양쪽 상영관으로 어르신들이 질서정연하게 입장했다.

1969년 개관했던 근대식 영화관인 이곳은 2009년 김은주(50) (주)추억을 파는 극장 대표가 인수 후 노인들을 위한 '실버 영화관'으로 탈바꿈했다. 영화관에선 눈이 침침한 관객들을 위해 화면의 3분의 1을 차지할 정도의 큰 자막으로 영화를 상영하고, 공연장은 우렁찬 음량으로 공연을 진행한다. 휴게 공간에도 추억에 젖을 수 있는 각종 골동품이 즐비하다. 전국에 어르신을 대상으로 하는 민간 실버 영화관은 허리우드극장을 포함해 4곳뿐이다.

이곳에선 55세 이상이라면 누구나 영화 한 편을 2000원에 볼 수 있다. 주 1회 가수가 직접 90분짜리 공연을 펼치는 '낭만공연'은 5000원에 관람할 수 있다. 故 송해 선생님이 생전 100회 이상 거마비만 받고 진행했던 공연으로 유명하다.

매일 500~600명의 어르신들이 영화를 관람하러 방문하고, 낭만공연도 회차마다 상영관이 꽉 차 하루 500명가량의 관객이 모인다.

공연장에서 만난 서철수(80) 씨는 "일주일에 한 번씩 공연을 보러 온다"면서 "추울 때 오면 따뜻하고, 더울 때 오면 시원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렇게 안 가던 시간이 여기선 후딱 간다"며 "공연 시간이 더 길었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83세 이모 씨도 "앞서 영화를 이미 한 편 봤고, 이어 공연도 관람할 것"이라며 "이름만 낙원동인 게 아니라 여기가 우리한테는 진짜 낙원"이라며 "여기마저 없어지면 정말 갈 곳 없다"며 씁쓸한 웃음을 지었다.


허리우드극장은 직원도 68세 이상만 고용한다. 매표소에서 표를 확인 업무를 하는 80세 백모 씨도 자원봉사로 이 일을 시작해 5년 전 정식 채용됐다. 백 씨는 "5년 전에 비해 손님이 점점 늘어나는 것을 느낀다. 부부 고객도 많다"며 "노인을 응대하면 힘들 거라고 생각할 텐데, 그렇지 않다. 처음 오시는 분들만 이용법을 몰라 우왕좌왕하실 뿐 차근차근 알려드리면 다들 질서정연하게 움직이신다"고 설명했다.

김 대표는 "2009년 극장 인수 후 매년 적자라 집 3채를 팔았다"면서 "과거 영화업에 종사했고, 처음에는 폐관 위기에 놓인 허리우드극장의 명맥을 잇고자 이 일을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지금은 나 말고는 어르신들의 공간을 꾸릴 사람이 없다는 생각에 사명감을 갖고 임한다"며 "짊어진 현실적 문제들이 무겁지만 어르신들이 '고맙다' 말씀하실 때 너무 뿌듯하다"며 "훗날 이 일을 누군가 이어 해주면 좋겠지만 사실 지원 여건이 열악한 건 사실"이라고 토로했다.

이어 "시를 통해 연 3000만원 수준의 지원금을 받고 있지만 사실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라며 "관람료를 올리지 않고 양질의 공연을 할 수 있도록 가수 섭외라도 시에서 도움을 주면 좋을 것 같다"고 털어놨다.


노인 놀거리 관련 시설 활성화와 관련, 박승희 성균관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지금까지 노인 복지는 요양비, 병원비, 기초생활비와 같이 생존과 직결된 부분에 치중해 제도를 설계하고 운영해왔다"며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하는 만큼 앞으로는 단순한 기초 생활 보장에 그치지 말고, 노인들이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거점 공간을 지역 곳곳에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영리 한경닷컴 기자 smartkim@hankyung.com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