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03/AA.36114665.1.jpg)
2019년 출시된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는 순자산 3824억원으로 국내 부동산리츠 ETF 중 독보적 1위다. 높은 배당금으로 투자자들에게 인기 있는 맥쿼리인프라의 비중이 16.95%다. 삼성자산운용이 맥쿼리인프라의 비중을 24.53%로 높이고 수수료를 대폭 낮춘 상품으로 승부수를 띄우자 견제에 나섰다는 평가다.
ETF 시장 점유율 1, 2위인 삼성자산운용(점유율 40%)과 미래에셋자산운용(37%)의 수수료 싸움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작년에도 2차전지 레버리지 ETF의 총보수를 삼성자산운용보다 낮은 수준으로 조정했다.
증권가는 운용사 간 경쟁이 선택의 폭을 넓히고 수수료를 낮추는 등 소비자 편익 측면에서 긍정적이라고 평가한다. 그러나 일각에선 운용사들이 비슷한 테마의 ETF를 우후죽순 내놓다 보니 수수료 경쟁만 치열해지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규모의 경제를 구축하지 못한 후발 주자들은 적자를 감수하며 ‘울며 겨자 먹기’식으로 수수료 출혈 경쟁에 가세해야 한다”며 “다양한 ETF 상품과 구조로 차별화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맹진규 기자 mae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