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화수목토토일, 직장인이라면 말만 들어도 설레고 가슴 뛰는 ‘주 4일제’ 공약이 난무하고 있다. 지난 12일 한국노동조합총연맹은 ‘22대 총선 정당별 노동·사회정책 비교·평가 토론회’를 열었다. 근로기준법 확대 적용, 65세 정년 연장 법제화, 주 4일제 도입 등 한국노총의 핵심 요구사항에 대한 각 당의 입장에 대해 채점하는 자리였다. 답안지를 들여다보면 더불어민주당은 ‘주 4일제 태스크포스(TF) 가동’을 약속했고, 녹색정의당과 새진보연합 등 야권은 주 4일제를 추진하겠다고 했다.
선거 앞두고 '주 4일' 공약 난무
주 4일제가 선거판에 본격 등판한 것은 20대 대통령선거를 몇 개월 앞둔 2021년 11월이다. 당시 심상정 정의당 대선후보는 ‘시대정신’이라며 ‘전 국민 주 4일제’를 핵심 공약으로 내걸었다. 당선 가능성이 희박했기에 언론의 관심은 크지 않았지만, 심 후보 공약을 놓고 온라인에선 한동안 뜨거운 반응이 이어졌고 급기야 지난해에는 이재명 민주당 대표까지 주 4일제 추진을 공언했다.결론부터 말하면 언젠가는 주 4일제로 가게 되겠지만, 현시점에서는 절대 가서는 안 되는 길이다. 우선 자체적으로 주 4일제를 시행하고 있는 기업(삼성전자, 포스코 등)에서 보듯이 주 4일 근무가 가능한 대상은 노동시장 최상단 근로자들이다. 제도화된다고 해도 양대 노총에 가입해 강력한 노조의 우산 속에 있는 공기업과 대기업 근로자만 혜택을 보게 될 게 명백하다.
노동시장 아랫단에 있는 대다수 근로자, 특히 중소 제조업 하청 근로자와 비정규직 근로자는 줄어든 임금을 보전하기 위해 연장근로를 하거나 그도 여의치 않으면 벌이를 만회할 투잡, 스리잡을 뛰어야 한다. 급증하고 있는 배달 등 플랫폼 종사자는 애초 적용 대상도 아니다. 우리는 이미 지난 정부에서 밀어붙인 주 52시간제가 상위 10% 근로자에게는 ‘저녁이 있는 삶’을 선사했지만, 대다수 근로자는 ‘저녁 사 먹을 돈이 없는 삶’을 강요받았음을 목도했다. 결과적으로 주 4일제는 노동시장 이중구조, 즉 가뜩이나 심각한 양극화를 심화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상당수 노동계 인사도 주 4일제 주장을 비판하는 이유다.
양극화 심화하는 뇌관 될 것
기업 입장에선 또 어떤가. 노동계에서는 주 4일 근로가 도입되면 자연스레 고용을 나누고 신규 채용이 이뤄질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현실을 몰라도 한참 모르는 소리다. 기업은 근로시간이 아닌 생산성을 그 대가인 임금을 지불하고 구입한다. 그럼에도 주 4일제 주장 어디에도 생산성 향상에 관한 이야기는 들리지 않는다.1주일에 52시간 상한에 꽁꽁 묶여 있는 근로시간제도를 보다 유연하게 적용하려던 정부 정책은 노동계의 주 69시간 프레임에 갇혀 옴짝달싹 못 하고 있다. 주 4일제는 유연한 근로시간 운영에 따른 자연스러운 결과여야지, 그 자체로 근로시간 단축의 수단이 될 수는 없다. 또다시 ‘꿈의 직장’ 근로자들만 웃게 하는, 그리하여 양극화를 더 부추기는 실수를 되풀이해선 안 된다.